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지금으로부터 107년 전인 1905년, 우리나라가 일제의 침략 앞에 위태로울 때 세계 물리학은 빛, 공간, 시간, 물질, 에너지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천재적 업적(특수상대성이론)으로 패러다임 변혁이 일어나고 있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양자역학이 등장해 고전 물리학과 선을 긋고 세계는 현대 물리학으 ...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꽃샘추위가 한창이던 3월 12일 오후, 쌀쌀한 바람에 외투를 여미며 외진 곳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건물 안으로 들어섰다.“쿵쿵짝짝, 쿵쿵짝짝…”건물로 들어서자 누군가 드럼을 치고 있는 것처럼 일정한 박자 음이 계속해서 들려왔다. 리듬을 맞추며 발걸음을 옮기려는데 이철현 한국기초과학지원 ...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7만t급 대형 크루즈 ‘레전드 오브 더 시’호. 현재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태국 연안을 운항하고 있다.]2월 14일 오후 5시 15분(한국 시각), 말레이시아 서안 포트 클랑(클랑 항구).“엔진 준비됐습니다!”크루즈선 ‘레전드 오브 더 시(M.S. Legend of the Seas, 이하 레전드)’호 8층의 브리지(선교, 선장이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이렇게 나뭇잎 위에 가라앉은 부유물 위에 자라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누런 잔디 사이에 짙은 녹색 클로버 싹이 올라오기 시작하는 3월 초순 성균관대 구내에 있는 작은 연못. 생명과학과 윤환수 교수가 연못 바닥에 있는 나뭇잎 위에 커다란 스포이드를 대고 물을 빨아 당긴다. 윤 교수가 채 ...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안녕하세요. 고등과학원에서 기초과학을 연구하고 있는 김재완 교수입니다. 3월 14일 파이파티에 수학을 사랑하는 수학동아 독자기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원주율 π에 대한 재밌는 이야기와 즐거운 체험활동까지,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파이파티를 준비해 놨어요. 파이파티는 정확히 원주율 숫 ...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솔이야, 괜찮니? 갑자기 왠 정전일까…?”으악! 샤워하는데 갑자기 불이 꺼지고 따뜻한 물도 안 나와! 엄마는 가스 레인지도 안 켜진다며 저녁 준비도 못 하고 계셔.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해세계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11년 10월 31일, 인도 북동부 ... ...
-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보스턴(미국), 도쿄(일본), 런던(영국), 베이징(중국)….이 도시들의 특징은 무엇일까. 바로 세계적인 과학도시다. 2010년 10월 ‘네이처’ 보도에 따르면, 보스턴은 2000년대 이후 논문 인용지수에서 줄곧 세계 최고를 달리고 있고, 2009년 ‘사이언스’, 네이처,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논문 출판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규정 타석을 만족시키는 타자 수가 연간 30~40명에 불과해요.”“생각보다 ‘빅데이터’가 아니네요?”지난 3월 10일 토요일 오전 서울 신사동의 한 옥탑방. 이곳에 모인 12명의 사람들이 의외라는 표정을 지었다. 엑셀로 그린 그래프를 살펴보던 중이었다.“그래도 자료를 여러 사람이 나눠서 검증 ... ...
- [4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우주 개발 위성 vs 장거리 미사일 발사북한이 김일성 주석 100회 생일에 맞춰 4월 12~16일 사이 ‘광명성 3호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혀 국제사회에 파장을 일으켰다. 광명성 3호 발사에 국제 사회가 술렁이는 까닭은 위성 발사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바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 때 ...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3월 11일은 역사상 가장 큰 원전 사고인 일본 후쿠시마 사고가 난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과 에너지 대안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더 안전한 차세대 고성능 원전 개발부터 소형화와 집적화를 통해 새로운 활용처를 찾으려는 시도까지, 원전 연구의 최전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