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변이가 많이 일어나는 RNA 바이러스라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
할지 예측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코로나19가 아직 종간 장벽을 넘어 전파됐다는 증거가 발견된 적은 없습니다.WHO도 홈페이지 내 ‘미신타파(Myth busters)’ 페이지를 통해 ... ...
지금이 봄이야! 진짜 계절 알려주는 계절 알리미 생물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유독 따뜻했던 겨울이 지나갔습니다. 불과 이전 겨울, 또 그 이전의 겨울에는 혹한과 폭설로 시달렸는데 말이죠. ‘여름철 폭염 뒤에 겨울철 혹한이 온다 ... 계절을 알 수 있는 셈이죠. 어떤 생물들인지 만나볼까요. 단, 겨울에는 생물의 활동이나
변화
가 적어 계절 생물종이 따로 없습니다 ...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레터스’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Lett.93.171103 연구팀은 지구 역사에서 환경에 중대한
변화
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시점에 가까운 초신성이 폭발했을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느려지고 어떤 전자는 빨라지는 등 서로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이는 곧 에너지 준위에
변화
가 생기는 걸 의미한다.원자의 개수가 더욱 많이 늘어나면 어떻게 될까. 기존 에너지 준위와는 다른 에너지값들이 계속 나타나고 결국 이 물질의 에너지 준위는 특정 값이 아닌 일정한 범위로 나타낼 수밖에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위치로 모이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원하는 위치에 세포골격을 만들어 세포 모양의
변화
를 유도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이 연구 결과는 생물학 분야 최고 학술지 ‘셀’ 2016년 6월 2일자에 실렸다. doi: 10.1016/j.cell.2016.04.045서 교수는 “이 기술은 단백질 하나가 활성화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거나 ... ...
알콰리즈미의 나라 K-수학으로 하나 되다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차 Touch Math Festival에서도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수학 문화를 교류하고 수학 학습방법의
변화
를 이끄는 또 하나의 K-수학 한류 물결을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 ...
[천리안 2B호] 총괄 최재동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 보통난이도 | 천리안 2B호 “1년 전 천리안 2A호를 발사할 때와 동일한 과정을 밟을 테지만 한시도 긴장을 늦출 수는 없습니다. 카운트다운하는 날 ... 2B호가 세계 최초”라며 “한반도만 바라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기와 해양 환경의
변화
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반양성자를 고진공환경에 가두고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변화
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기존 천체물리학에서 초신성 등을 통해 반물질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보다 10만 배 이상 정밀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oi: 10.1038/s41586-019-1727-9암흑물질부터 반물질까지, 물리학의 ... ...
[포토뉴스]스파게티면이 꼬불꼬불해지는 과정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예측 결과와 비교하자 서로 일치했습니다. 이 수학 모형을 이용해 눈으로만 알 수 있던
변화
를 수학적으로 분석한 것이죠. 그 결과 스파게티면이 물을 흡수해 부피가 커지고 점성과 탄성을 모두 가지는 성질로 바뀌면서 잘 구부러지도록 영구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오라일리 교수팀이 ... ...
우주로 갔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집단 우주 유영 모습도 보여줬지요.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가 우주 비행에 대한 인간의
변화
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근거를 줄 수 있으며, 향후 이어질 우주 장기 체류 쥐 실험의 유용성을 보여준 셈”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