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의 배양기술이 감자농사를 돕는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크므로 이에 대한 학문적 뒷받침이 시급한 것이다.감자처럼
번식
하는 식물을 영양
번식
체라고 부르는데 고구마나 마늘도 여기 속한다.그래서 정박사팀은 인공씨감자의 성공을 여세로 인공씨고구마 인공씨마늘에도 도전하고 있다. "번번히 실패했지만 인공씨고구마는 꼭 만들 수 있을 것 같은 감이 ... ...
컴퓨터바이러스 치료대책과 예방법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수 있는 모든 컴퓨터나 프로그램을 감염시키기 시작한다.컴퓨터 바이러스는 자기 자신의
번식
을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컴퓨터의 여러 부분을 공격한다. 가장 찾아내기 힘든 전략중의 하나가 '트로이의 목마'(Trojan Horse)전법이다. 겉보기에는 아주 유용한 응용 프로그램이거나 게임 ... ...
두루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학이라 불리우는 목 길고 다리 가는 새. 황금의 듀엣으로 노래부르고 타고난 춤솜씨로 왈츠를 춘다. 게대가 '정절'과 '장수'의 상징적 위치에 올라 있다.지구가 생성된 이래 수 ... 8개까지 알을 낳는다. 동물원에선 이 알을 인공부화시켜 점차 감소해가는 두루미의 종족을
번식
시키고 있다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비늘로 덮여 있다.먹이를 잡는 방법이나 식성도 종에 따라 다른데 대단히 독특하다.
번식
력은 그렇게 강하지 않아 1회에 한마리만 낳는다. 그러나 임신한 암컷은 연중내내 볼수 있다. 임신기간은 일부의 종을 제외하고는 평균 7개월로 긴편이다.천적이 거의 없고 그때문인지 고착성의 종도 있다. 또 ... ...
신체 손상으로
번식
력 떨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키우기 위해서 발톱 등도 무디게 잘라준다.영국의 동물학자 '제임스 서펠'씨는 벌독의
번식
력이 계속 떨어지는 것에 주의, 그 원인을 캐보았더니 이런 신체 손상때문에 정상적인 출산을 제대로 못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얼굴 근육이 마구 겹쳐지는 바람에 벌독은 다른 개보다 피부질환을 ... ...
호랑이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호랑이의
번식
기(期)는 서식지의 기후에 따라 다르다. 북방에서 봄이 시작되기 전부터
번식
을 시작하나 남방에선 거의 연중 내내 이루어진다. 이때가 되면 수컷 호랑이는 매우 깊이 있고 우렁찬 저음의 포효를 하면서 암컷을 찾아 헤맨다.혼자 사는 성향이 강한 호랑이지만 이때만은 암수가 함께 ... ...
곤충을 먹이로 하는 식충식물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마르고 다음해에 나올 겨울 눈으로 월동한다. 잎에는 부정아가 형성되어 무성생식으로
번식
하기도 한다. 잎의 표면은 상하 표피세포가 있고 엽육(葉肉)에는 울타리조직과 갯솜조직이 있으나 그 발달이 미약하다. 뒷면 표피세포에는 기공이 분포되어 있으나 부세포가 없다. 표피세포와 공변세포에는 ... ...
잘못 알려진것이 너무많은 곰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동거생활을 한다. 3살이 되면 어미와 작별하고 독립생활을 하지만 6살이 되어야 성숙,
번식
능력을 보유하게 된다.모든 곰은 하나같이 재주꾼들이다. 저희들끼리 레슬링을 하기도 하고 발바닥을 혀로 핥으며 즐거운 모습을 짓기도 한다. 곰이 걷는 것을 보면 배꼽을 쥐고 웃지 않을 수 없다. 보통 때는 ... ...
미국의 가뭄피해 날로 확산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죽어가는 가축이 늘고 있다. 또한 오리가 물과 먹이가 부족, 죽어가고 있으며 수량부족은
번식
력을 약화시켜 오리의 숫자가 현저하게 줄고 있는 것이다.예측자들은 곡물가는 이미 10%이상 올라가 있지만 이것이 계속해서 오르고 가을부터는 육류값의 오름새가 이어져 내년에는 세계적 규모의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출전팀 수학공부의 요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수학은 특히 나이가 중요해요. 어릴수록 유리하다는 얘기지요. 4년마다 한
번식
수여하는 '수학의 노벨상'인 필드상 수상자만 봐도 그들의 주요한 업적은 주로 20대 시절에 연구한 결과입니다. 저는 29살에야 유학을 떠났는데 30살이 넘으면 날카로운 창의력은 쇠퇴한다고 봐야죠, 그렇다고 보면 현재의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