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1968년 전자계측시대가 열리면서 0.01초까지 측정이 가능해졌어요. 그 뒤 계측기술은 더
발
전했지만 기록은 계속 0.01초까지만 측정해요. 다만 순위를 정확하게 가려야 할 때는 사진 판독을 해요. 1초에2000장을 찍을 수 있는 사진기를 쓰기 때문에 0.0005초까지 가릴 수 있지요. 1cm의 작은 차이도 구분해 ... ...
중학생 논문집 펴내는 경북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갖춘 영재를 교육하기에 힘쓰고 있습니다. 창의성이란 지금까지 없었던 것을 스스로
발
굴해 이를 분석하고 실험하는 과정에서 기를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창의력은 인내할 수 있는 힘이라고도 할 수 있어요. 하나의 문제에 대한 끈기와 참을성은 결국 인성과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벌다, 재산을 모으다’의 의미를 가진 ‘빠차이(發財)’의‘빠(發)’와
발
음이 같아.이런 이유 때문일까? 중국어를 사용하는 홍콩인과 중국인은 8을 부자가 되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숫자로 생각해 누구나 좋아해. 그래서 8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강하지. 서양이나 우리나라에서 숫자 7을 좋아하는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포물선의 높이나 길이는
발
을 구를 때의 속도와 각도에 따라서만 결정된다는 뜻이죠.
발
을 구르는 순간 뛰는 거리가 결정된다는 말과 같습니다. 그런데도 공중자세가 필요한 이유는 착지 때문이에요.멀리뛰기에서 최종기록은 신체의 어디든 바닥에 닿은 곳을 기준으로 해요. 착지를 잘못해서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①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기차가 아니라도 선생님은 다 맛있어하시잖아요.”식당에서 식사하던 허풍은 놀라운
발
견이라도 한 듯 깜짝 놀란다.“도형아, 음식을 각자 자리로 가져다주기도 하나보구나. 저쪽은 비싼 자리인가 보다. 구경 한번 가보자.”열차의 식당 칸 앞에는 특실이 있는데, 문에 상자 모양의 자물쇠가 설치돼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들어 낸다. 그의 작품들은 한결같이 단조로운 회색빛 톤으로 이루어져 있다. ‘폭풍
발
생 장치(위)’라는 이 설비는 적진을 휩쓸기 위한 허리케인을 제조하는 장치 같다. 그리고 ‘미세 폭동유도기(왼쪽)’는 노란색 유리에서 음파가 나와 사람들의 마음을 흥분시킬 것 같다. 작가는 냉전의 종식과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보조날개가 있는데, 이 장치는 오늘날 여객기 꼬리 부분에 수평으로 있는 작은 날개로
발
전했다. 각도를 바꿔가며 비행기를 상승 하강시킨다.플라이어 1903이 날 수 있는 최대 속도는 시속 60∼70km에 불과하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보다 느린 셈이다. 날개 면적이 넓고 엔진 출력이 낮기 때문이다.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머나! 이게 웬일입니까? 이게 웬일이에요?”나로호를 두 번째
발
사하던 날. TV 방송 해설을 맡았던 우주인 이소연 박사는 ‘통신두절’이라는 ...
발
사해 본 경험은 결코 돈으로 살 수 없는 귀중한 것인 만큼 이 경험을 살려 KSLV-II의
발
사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걷기 기능을 완성한 만큼 하이퍼가 사람의 손과 팔 동작도 따라하는 기술도 곧 개
발
할 수 있을 것”이라며 “1~2년만 더 기다리면 한층 더 진보된 로봇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긴장감을 느낀다고 해요. 어쩐지 영화 속 주인공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곳에 꼭 제
발
로 찾아가더라고요. 다 이유가 있었어요.이렇게 얻어진 4개의 변수 es, u, cs, t를 더한 뒤 제곱해요. 4개의 변수는 긴장감 조성에 큰 역할을 하므로 제곱해서 그 효과를 배로 늘려주죠. 그리고 충격적인 장면(s)을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