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자외선 반사하는 나비 날개, 진화 결정한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다른 종과 섞이지 않고 독립적인 종으로 진화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1월 18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73/pnas.210925511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③ 1만5000개의 핵무기가 터졌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계산해뒀다. 이 분석에 따르면 1만 5000개 가운데 0.33%인 50개만 폭발했어도 10년 동안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이 12% 감소하고 중국의 쌀 생산량은 17%, 밀은 31%나 감소했을 것이다. 물론 이 가정보다 300배가 넘는 핵무기가 폭발한 지금은 다 소용없는 수치일 뿐이지만. doi 10.1007/s10584-012-0518-1핵무기가 ...
- [과학 뉴스] 사람이 아니였어?! 생생한 표정의 휴머노이드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하반신 운동 기능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엔지니어드 아츠는 올해 1월 5일부터 미국에서 개최될 세계 최대 규모 산업 전시회 ‘CES 2022’에서 아메카와 메스머의 실물을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 ...
- [시사 과학]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더 위험한 증상을 일으키는지는 데이터가 더 많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화이자 등 미국의 백신 개발 업체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한 새로운 백신을 수개월 내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한편, 일부 기업은 항체 대신 T세포●를 활용하는 백신 연구를 시작하기도 했죠. 과학자들은 T세포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유럽우주국(ESA)의 탐사선 ‘헤라’가 이어 관찰할 계획이에요.다트 미션의 연구책임자인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앤드류 리브킨 교수는 “소행성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수 mm만 밀어 방향만 살짝 바꿔도 피해를 막을 수 있다”며, “디모포스는 이집트 피라미드와 비슷한 크기로 비교적 작은 다트 ... ...
- [수학뉴스] 폭풍해일을 잠재우는 식물이 있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에 실렸어요. 연구팀은 폭풍해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습지식물에 주목했어요. 2012년 미국에 엄청난 허리케인이 일어났는데, 습지식물 덕분에 피해가 약 6억 달러(약 7107억 원)나 줄었다는 연구가 2016년에 발표됐었거든요. 그래서 모의실험을 통해 어떤 식물이 폭풍해일을 가장 약하게 만드는지 ... ...
- [가상 인터뷰] 수학 문제의 영감은 개미에서 나온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찾아 먹이를 빠르게 운반해요. Q. 최근 과학자에게 큰 도움을 줬다면서요? 알버트 체른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제 행동에서 단서를 얻어 최적 운송 이론을 응용해 ‘플라토 문제’에 나오는 ‘극소곡면’을 구하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어요. 극소곡면은 임의로 ...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초등학교부터 대학원 석사 과정까지 한국에서 교육받은 한국계 미국인입니다. 정기적으로 우리나라 고등과학원에 와서 연구하고, 대중강연을 하는 등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지요. 그 때문인지 를 비롯해 많은 우리나라 수학자가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따분한 수학은 가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이 2개니까 12라고 써요. 12는 1이 하나, 2도 하나라서 다음 수는 1121이 되지요. 재밌죠? Q. 미국의 유명한 퍼즐 연구가이자 수학 칼럼니스트인 마틴 가드너 선생님과 무척 친하다면서요? A. 맞아요!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어떻게 하면 수학의 재미를 사람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을지 생각을 나눴어요. ... ...
- 손으로 빚은 식재료 풍성한 식탁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추출하고 발효해 커피를 만들고 있습니다. 식품계의 업사이클링(새활용)인 셈입니다. 미국의 또다른 기업인 컴파운드 푸드도 마찬가지입니다. 미생물의 발효 반응을 이용해 커피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1000여 종의 화합물이 든 커피에서 풍미를 내는 핵심 물질로는 피리딘, 퀴놀린,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