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d라이브러리
"
무리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은하에 있던 가스는 주변으로 뛰쳐나오고 뒤쪽으로 20만광년이나 길게 뻗은 푸른빛
무리
를 만들었다. 긴 가스 흐름 중간중간에 밝은 푸른빛은 새로 태어난 별들에서 나온 것이다.죽은 용이 하늘의 별자리가 된 것처럼 C153에서 흩어져나온 가스는 새 별들이 됐다. 폐허 속에 피어나는 꽃이 더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않다. 이제 쌍안경으로 도전해보자. 쌍안경에서는 두 성단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다른 별
무리
들과는 확연하게 구분돼 성단임을 알 수 있다. 두 성단의 특징도 잘 드러나는데 M46은 성운처럼 뿌옇게 보이며 M47은 별들이 뭉쳐졌다는 것이 확인된다.소형 천체망원경으로 두 성단을 찾아보면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들은 각기 모양정보처리통로, 색채정보처리통로, 깊이·움직임처리통로로 이해하면 큰
무리
가 없다.모양정보처리통로는 주로 밝기정보에 의존해 모양을 파악한다. 이 통로는 색채의 종류, 즉 빛의 파장과는 관계없이 그 색의 밝기가 어느 정도인가에 매우 민감하다. 미세한 밝기 변화도 처리할 수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천둥 번개가 치거나 우박이 내릴 경우의 구름은 거의 모두 적란운이라고 생각해도
무리
가 없다대규모적인 용오름의 일종 알기 쉽게 아주 큰 회오리 바람의 일종이라고 생각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이 말은 원래 미국의 중·동부에서 자주 일어나는 것의 고유한 이름이었지만, 이제 일반적으로 그런 ... ...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뤄진 대단히 아름다운 이중성이다. 천체망원경에서 드러나는 장미성운 중앙부의 별
무리
인 NGC 2244 성단의 모습은 매우 화려해진다. 이 성단의 시직경은 약 40´으로 상당히 크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5.8등급의 노란색 별로서 나란한 두줄의 끝 부분에 위치해 있다. 다른 별들은 푸른색의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갈대는 새들의 풍요로운 먹이감으로 넘실거리는 들판이다. 노을이 물들기 시작하면
무리
지어 날아가는 철새들은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새들의 풍경으로 그 자체로도 큰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철새들의 핵심 서식처이며 먹이 공급처인 을숙도 남단과 명지갯벌에 6차선인 명지대교를 건설한다는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황소자리의 알파별인 밝은 일등성별 알데바란이 있으며 그 주변에는 N자형으로 별들이
무리
를 이루고 있는 히아데스성단이 포진해 있다. 한편 이 성단의 북쪽에는 페르세우스자리가 위치해 있어 은하수가 지나간다. 그러므로 이 부근은 유명한 성운과 성단이 상당히 많아 여러 관측가들에게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것도 인간과 비슷하다. 원숭이에게로 돌진해 붙잡은 다음 갈기갈기 찢어 먹는다. 침팬지
무리
간에도 종종 싸움이 벌어지는데 이때 어린 침팬지가 살해당하는 경우도 있다. 어쩌면 이런 참상에 그가 실망했을 법도 하다. 하지만 전쟁이 끝나면 부모를 잃어 고아가 된 어린 침팬지를 다른 어른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것이다. 냄새를 맡음으로써 배고플 때 먹이를 찾고 번식할 때 짝을 찾고 이동할 때
무리
를 지으며 살아간다. 또한 깜깜한 가을밤에 귀뚜라미 수컷은 날개를 비벼 강한 소리를 내서 암컷을 부른다.지구상의 모든 동물들은 살아가기 위해 각각 다른 방법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하지만 사람의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전망이다. 지금같은 추세라면 아마도 10년안에는 충전없이도 최소 1주일에서 1달 이상 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수단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최근 가장 주목되고 있는 것이 연료전지다. 연료전지는 에탄올과 메탄올, 가솔린, 천연가스 등 탄화수소화합물이나 탄소나노튜브를 연료로 하는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