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d라이브러리
"
모델
"(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총장 박찬모포스텍은 지난해 20세를 맞는 성인식을 치렀다. 1986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를
모델
로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며 세워진 포스텍이 국내 대학평가 수위를 다투는 대학으로 잘 성장한 일을 축하하는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박 총장은 포스텍이 30대 중반쯤 되는 2020년, 포스텍을 세계 20위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지구 밖으로 인간을 내보낼 만큼 성장한 한국 과학기술의 상징이자 청소년들이 꿈꾸는
모델
이기도 한 이들과 함께 우주의 삶에 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festival.scienceall.com)를 방문하면 볼 수 있다. 8월,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과학축제, 2007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초전도 자석의 형태를 바꾸기도 했다. 이 때문에 KSTAR는 ITER의 축소판이자 파일럿
모델
로 평가받고 있다. 영하 268.5℃의 초전도 자석에 1억℃의 뜨거운 플라스마를 가둬놓는 상극의 기술이 만나 빚어낼 새로운 핵융합에너지. KSTAR는 벌써부터 세계를 설레게 한다.KSTAR 기네스1. 초전도 자석에 들어간 ... ...
처녀 상어, 새끼 낳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상관관계의 해명, 천연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의 양적 확보 등이며, 단백질이나 효소의
모델
화합물로서 합성되는 경우도 있다 분자량 및 구조가 균일한 고분자 일반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합성고분자계(合成高分子系)는 분자량에 분포하는 이른바 다분산성(多分散性)이다 모양과 크기가 균일한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이상 더 긴 것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아케르나르처럼 납작한 별은 기존에 알려진 별 내부
모델
로는 설명할 수 없어 수수께끼로 남아있다.다음으로 우주에서 가장 작은 별은? 2005년 4월 국제 저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목성보다 약간 큰 ‘OGLE-TR-122b’라고 한다. ... ...
컴퓨터로 공기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인간 어뢰’로 불리는 호주의 수영 선수 이안 소프는 전신수영복을 입고 3관왕을 차지했다. 당시 수영 금메달 33개 가운데 25개를 가져간 선 ...
모델
을 사용하면 태풍 같은 기상 현상을 훨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메이드 인 코리아’ 기후
모델
을 자랑했다 ... ...
공정시스템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키우기 위해 발효기나 시험관, 멸균기가 필요없다. 대신 컴퓨터 모니터에 수많은 단백질
모델
이 그물처럼 얽혀있을 뿐이다.“미생물을 하나의 화학공장으로 보는 겁니다. 예를 들어 정유공장에선 휘발유를 얻기 위해 촉매를 넣고 온도를 높입니다. 마찬가지로 가상공장에선 유용한 단백질을 ... ...
화성이 뒤집혔어요?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소행성이 충돌해 자전축을 움직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연구팀은 수학적
모델
을 이용해 화성 적도에서 멀리 떨어진 화산이 폭발하거나 소행성이 충돌하면 자전축이 화성 전체 질량의 균형을 잡기 위해 적도 부근으로 점차 이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페론 교수팀은 “화성에서 해안선이 ... ...
초록색 제국의 빛과 그림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약화시켰기 때문이다. 저자는 콘텐츠 개발자에게 수익의 일부를 되돌려주는 구글의
모델
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이 책은 한 개인이나 기업의 이야기에만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NHN이 지식검색으로 성공하고 웹2.0과 UCC의 광풍을 해쳐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국내외 IT의 역사를 ...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우주비행사가 기압 적응훈련을 받을 때 적용하는 수학
모델
을 통해 나온 결과다. 실제로 일본 랜드마크타워(296m)의 최상층에서 최하층에 이를 때 고막 안팎의 기압차는 최대 1655Pa, 미국의 시어스타워는 1769Pa로 모두 귀에 부담을 주지 않는 정도다.승객은 40초 이상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