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부"(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성질을 이해할 수 있는 그림도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그림➊은 원 모양의 피자 내부의 임의의 한 점에서 45° 각도로 잘라 피자를 8조각으로 나눈 것이다. 그러면 이때 서로 이웃하지 않는 조각 즉, 분홍색 부분의 넓이 합과 노란색 부분의 넓이의 합은 서로 같다.그런데 이 사실을 어떻게 확인할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영업사원들이 과거에는 종이로 프린트해서 들고 다니면서 했는데, 스마트폰으로 회사 내부 정보를 보고 바로 제품을 팔고, 결제할 수도 있게 됐다. “이 같은 솔루션으로 목적은 회사의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제품을 만들어 기업들에 팔기도 하고, 기업이 ... ...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바다 소용돌이 역시 순환하는 물의 경로에 의해 소용돌이 내부와 외부가 서로 차단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바다 소용돌이에서도 빛이 튕겨져 나가거나 빨려 들어가는 블랙홀과 같은 특정 장벽을 발견했다. 게다가 바다 소용돌이의 장벽을 만난 물은 소용돌이 주변으로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할 수 없는 일이다. 완전 쓸데없는 기계다.”1878년 미국 금융통신회사 웨스턴 유니온 내부에서 작성된 전화기 관련 메모.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은?그렇다면 미래는 어떻게 예측할까요? 예측은 점을 치듯이 알아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야 합니다.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용한 택배 방식은 세포 내부뿐만 아니라 세포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필요한 물질을 들여보낼 때도 사용하는 방식이다. 즉 췌장세포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호르몬을 밖으로 분비하거나, 신경세포가 시냅스라는 연결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을 내보내는 과정 등이다.택배용 ... ...
- 아이손이 다가온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않는다. 하지만 아이손 혜성은 다른 혜성보다 태양에 훨씬 가까이 접근하기 때문에 내부에 있는 휘발성 기체를 충분히 증발시켜서 지금까지 봤던 것보다 엄청난 크기의 코마를 만들 수 있다. 이때 만약 엄청난 힘으로 기체들이 분출한다면 그 압력과 태양의 차등중력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혜성이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늘어나면서 중요해졌습니다. LNG선박에 실은 액체가 운반 중에 심하게 흔들리면서 선박 내부에 충격을 줘 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슬로싱 방지기술은 프랑스에서 특허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조선 회사들이 배를 만들 때 특허료를 많이 내야만 했습니다. 김용환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모으는 것도 우주복의 역할입니다. 바깥은 영하 100℃ ~ 영상 125℃를 오르내리지만 내부는 쾌적하게 유지됩니다. 그렇다면 이 우주복을 입고 얼마나 오래 우주공간을 누빌 수 있을까요? 한 번 우주 유영 때 최대 7시간 정도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그런데 왜 하필 영화 제목이 ‘코스모스’나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 것도 그 중 하나다. X선 진단은 사람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몸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술이었으며 20세기에 초음파영상진단 및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출발점이 됐다. 또 방광경, 검안경 등의 다양한 진단기구가 개발됐는데 이는 인체의 좁은 통로를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각종 국방제품 수요가 많았다. 텍스트론 연구원 생활은 5년 정도 계속됐고, 기업 내부에서도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항공분야는 물론 우주 분야 연구 개발에도 관여하면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이 단장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개최하던 해에 휴가를 내고 부인과 자녀를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