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수학 선율, 노력하는 자만이 느낄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01
오차가 생기고 결국 목성과 토성은 태양 주위를 안정한 궤도로 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반대
로 러시아의 수학자 안드레이 콜모고로프, 블라디미르 아르놀드, 위르겐 모저는 행성에 미치는 힘에 작은 힘이 더해지더라도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안정한 궤도로 돈다는 ‘KAM 정리’를 연구했다. 요코즈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01
일반인의 견해는 극명하게 갈렸다. 외계생명체를 기대하던 사람들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반대
로 생물학 지식이 있는 사람들은 엄청난 발견이라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과학계에서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생명의 정의를 확장할 수 있는 발견이라는 NASA의 주장에 대해 어떤 과학자들은 논문의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01
안정해진다. 처음부터 두껍게 제조된 종이는 쉽게 접히지 않는다. 이때에는 가위 날의
반대
쪽이나 볼펜 등으로 접으려는 부분을 한번 그어주면 된다. 강한 압력으로 누른 부분의 섬유가 파괴돼 섬유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종잇장 한 장이 장난감을 넘어 튼튼한 유람선으로 탄생한 ... ...
타임스퀘어는 어떻게 부활했을까?
과학동아
l
201101
준다. 그렇다면 사람이 어찌할 수 없는 자연 현상이라고 봐야 하는 걸까. 저자의 결론은
반대
다. 지금껏 사회를 변모시키기 위해 필요했던 것이 거대한 프로젝트나 사람을 지도하기 위한 계몽이었다면, 이제는 사회를 구성하는 ‘원자’인 사람 개개인의 상호작용에 더 주목해야 한다. 개인들 사이의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01
2010년의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는 가상현실 속에 유토피아를 건설하려는 시도가 정
반대
로 디스토피아를 만들어낸 이야기를 담고 있다. 케빈은 가상현실 속 분신인 ‘클루’에게 그리드 안에서 ‘완벽한 세계’를 건설하라는 임무를 내린다. 클루는 케빈의 지시를 충실히 따랐다.그런데 케빈은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01
BEC 현상이 발견된 것이다. 2004년 논문에 물리학계가 흥분한 이유다. 스승의 스승이
반대
그 뒤 전 세계 10여 곳 실험실에서 김 교수의 실험을 재현했고 그 결과 초고체의 존재가 받아들여지는 듯 했다. 하지만 몇몇 물리학자들이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고체헬륨이 들어있는 진동자의 온도를 낮출 때 ... ...
‘쓸데없는 생각’이 기억장애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01
기억장애가 있는 쥐는 익숙한 물건과 새로운 물건을 봤을 때 모두 같은 반응을 보였다.
반대
로 1시간 동안 어두컴컴하고 조용한 우리에 넣어 딴 생각을 하지 못하게 하면 기억장애가 있는 쥐들도 일반 쥐들과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맥타히 교수는 “기억장애는 뇌가 기억을 불완전한 형태로 저장하기 ... ...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01
반대
다. 즉 공과 림이 부딪히는 순간, 진행하던 방향으로 나가려던 힘과 진행방향과
반대
로 돌려는 힘이 서로 힘겨루기를 한다. 그런데 힘의 크기가 같다 보니 서로 나가려는 방향이 아닌 아래쪽으로 공이 떨어진다.공이 백보드에 맞아도 같은 이유로 바스켓에 공이 빨려 들어갈 확률이 높아진다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01
일정한 방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물질은 전기 분극, 즉 물질의 특정 방향은 양(+)극성을,
반대
방향은 음(-)극성을 띤다.유전체 중에서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분극 방향이 바뀌고 전기장이 사라진 뒤에도 그 방향을 유지하는 물질을 강유전체라고 일컫는다. 1920년 미국의 물리학자 조셉 발라섹이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01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은 어떤 물질을 누르거나 구부리면 전기가 생기는 압전효과의
반대
현상이다. 그 뒤 NASA와 함께 원격 조종할 수 있는 종이 로봇을 연구해 왔다. 종이 반도체는 전기전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종이처럼 잘 휘어진다. 또 친환경적인 소재이므로 폐기할 때도 문제가 없다. 종이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