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과학동아 l201401
- 참여한 팀은 세 팀이다. 첫 번째 팀은 ‘DRC휴보’. 미국 드렉셀대가 필두다. 미국 대학이지만 팀 리더는 한국계 미국인인 폴 오 교수가 맡고 있다. 특히 이 팀이 쓰는 로봇은 우리나라 KAIST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재난 구조용 로봇 DRC휴보(DRCHubo)를 이용한다.KAIST도 같은 DRC휴보를 가지고 ... ...
- 블랙홀의 매력에 푸욱~, 빠져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24
- 거대 블랙홀이나 은하가 자기들끼리 충돌하며 더 커진다고 생각해요. 지난 11월, 서울대학교 우종학 교수를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쌍둥이 블랙홀을 찾아 이 이론을 증명했지요. 이 쌍둥이 블랙홀은 은하 두 개가 충돌해서 하나가 되기 직전 각각의 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들이에요. 우 교수는 ... ...
- 까마귀의 ‘새대가리’ 속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24
- 새는 도구를 사용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을 정도로 머리가 매우 좋거든요.독일 튀빙겐대학교 안드레아스 니더 교수 연구팀은 까마귀의 뇌를 관찰한 결과, 지능을 발휘할 때가 되면 사람과 비슷한 뇌 신경세포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먼저 두개의 그림 가운데 먼저 보여 준 ... ...
- 난파선 탐사, ‘거북이 로봇’에게 맡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24
- 들어가야 하지요. 하지만 이제는 로봇이 그 일을 대신할 것 같네요.에스토니아 탈린공과대학교 바이오로봇공학센터에서는 바다거북이 헤엄치는 원리를 이용해 난파선 탐사용 로봇 ‘U-CAT(유캣)’을 개발했어요. 바다거북의 다리처럼 각각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네 개의 물갈퀴로 자유롭게 ...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24
- 제대로 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태아가 성장하는걸 방해하는 거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하은희 교수님이 연구해보니 미세먼지 농도가 1㎥에서 10㎍씩 많아지면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은 16%, 임신 4~9개월 사이의 사산할 확률은 13.8%까지 올라간다고 해~. 미세먼지,이렇게 대비하자!몸 속으로 직접 ... ...
- 하이에나의 ‘SNS’는 미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같은 ‘SNS’인 셈이지.응? 냄새만으로 그걸 알아낼 수 있어? 어떻게?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케빈 테시스 박사 연구팀이 연구한 결과로는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 덕분이라고 합디다. 테시스 박사는 초원에 사는 점박이하이에나와 건조한 바위 지대에 사는 줄무늬하이에나의 취선, 즉 냄새를 내는 ...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최신형 비행기들이 한자리에 모여 매력을 뽐내고 있어요. 호기심 많은 ‘어린이과학동아’도 한걸음에 달려가 보았답니다. 그곳은 바로 지난 10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13’! 프로펠러가 4개나 달린 소형 싸이클로콥터, 동그란 공처럼 생긴 헬리콥터인 ... ...
- 면접 전에는 우유와 초콜릿 금물?어린이과학동아 l201322
- 토론을 앞두고 있다면 우유나 초콜릿을 먹고 싶어도 꾹 참는 게 좋겠어요.충북도립대학교 생체신호분석연구실 조동욱 교수는 우유나 초콜릿 같은 유제품이 발음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20대 남녀 각 10명에게 우유 195㎖와 초콜릿 15g을 먹인 뒤에 성대의 진동을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22
- 잘 휘는 디스플레이 시대를 열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2009년 삼성전자와 성균관대학교 연구팀이 그래핀으로 누르면 반응하는 터치패널을 만드는 데 성공해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가짜 홀로그램이 더 진짜 같다?참, 처음에 왜 안경 쓰고 TV를 봤냐고 물었지? 과학자들이 홀로그램을 ... ...
- 컴퓨터 속에서 공룡이 ‘쿵쿵쿵’어린이과학동아 l201322
- 전까지, 중생대에 가장 번성했다가 멸종한 공룡의 발걸음이 되살아났어요.영국 맨체스터대학교와 아르헨티나의 공동 연구팀이 아르헨티나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공룡 ‘아르젠티노사우루스’의 뼈를 3차원으로 스캔한 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걸음걸이를 재현했답니다.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