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858건 검색되었습니다.
"털 자라고 염증 낮아져"…회춘 돕는 마이크로RNA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과제도 더 빠르게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지광주 중국과학원 생물물리학 연구소
연구원
은 "miR-302b이 포함된 엑소좀 치료법이 생쥐의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인지적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종합적으로 입증하는 연구결과”라고 밝혔다. 다만 이 같은 치료법이 실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체·액체 오가는 사슬 모양 재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제 조우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공학·응용과학과 박사후
연구원
연구팀도 같은날 3차원으로 다중 연결된 건축 재료를 제시했다. 외부 하중에 반응해 이 재료는 비뉴턴 유체처럼 움직인다. 비뉴턴 유체는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관계를 비례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펑크 스타일' 머리 가진 연체동물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8
최초의 공룡이 육지에 나타나기 약 2억년 전 어두운 해저에서 살았다고 추측했다. 서튼
연구원
은 “두 생물이 갖고 있는 가시는 대부분 보호용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해양생물인 만큼 바다에서 생활하며 체내에 축적된 칼슘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 ... ...
[사이언스영상] 독성 수컷으로 '감염병 매개 암컷 모기' 줄인다
SEIZE
l
2025.01.18
효과를 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이끈 사무엘 비치 맥쿼리대 박사과정
연구원
은 "코로나19에서 배운 것처럼 전염병을 예상하기 위해선 가능한 빨리 질병의 확산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며 "TMT는 암컷 모기의 새끼가 아닌 암컷 모기 자체의 개체수를 줄일 수 있어 신속하게 작동하는 최초의 ... ...
항우연 원장에 이상철·천문연 원장에 박장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한국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교수, 천문연 신임 원장은 박장현 천문연 책임
연구원
으로 정해졌다. 이 신임 원장은 1886년 서울대 항공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1988년 항공공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미국 텍사스 A&M대에서 항공우주공학 박사 학위를 ... ...
[부고] 유병현 KIST 지능·인터랙션연구센터장 부친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유재상 씨 별세, 유병현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지능·인터랙션연구센터장 부친상=서울아산병원장례식장(8호실), 발인 19일 13시. 02-3010-2000 ...
한국연구재단 양자기술단장에 백승욱 표준연 책임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학위를, KAIST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일본 물질재료연구기구(NIMS) 방문
연구원
등을 지내고 2011년부터 3년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 일했다. 백 단장은 2014년부터 표준연에서 근무하기 시작해 2021~2023년 표준연 정책전략부 본부장을 맡았고 2022년부터 현재까지 ... ...
ETRI, 美 아르곤국립연구소와 반도체 기술 연구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아르곤국립연구소 전경. 위키미디어 제공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이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의 아르곤국립연구소(ANL)와 반도체 기술 연구를 위한 협력을 본격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아르곤국립연구소는 에너지자원, 태양열 에너지 등과 핵에너지를 연구하는 핵물리학 연구소다. ETRI는 지난 ... ...
[인사]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센터장급 △활성지구조연구센터장 이호일 △제4기환경연구센터장 김진철 ...
[사이언스영상] 자연스러운 로봇 표정 만들어낸 '파형'
SEIZE
l
2025.01.17
이 과정에서 표정을 위한 데이터 준비 과정을 간소화했다. 히사시 이시하라 오사카대
연구원
은 "이 기술이 발전하면 주변 환경에 맞춰 기분 변화를 표현하는 더욱 생동감 있는 표정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인간과 로봇 간의 감정적 교류가 한층 깊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