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8,1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GIST, 그래핀 분리막의 특이적 '물 투과 현상'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적층형 산화 그래핀막에서의 물 분자가 갖는 특이적 투과 현상의 발생 원리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적층 산화 그래핀 막이 기체 투과에 있어 작은 분자에 높은 투과율과 선택도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화학공학회지'에 3일 온라인 게재됐다 ... ...
AI로 노벨상 받은 베이커 교수, 코브라 독 해독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강화제로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AI 단백질 설계는 유해 단백질을 중화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며 "독사 물림 치료 외에 잘 연구되지 않은 열대성 질병에 대한 치료제 개발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586-024-08393 ... ...
"잠 깨기 전부터 스트레스 올라가"…기존 이론 뒤집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코르티솔의 리듬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건강을 개선하거나 잠재적 치료법을 찾는
데
통찰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98/rspb.2024.184 ... ...
전공의 모집 15일 개시…지원율 미미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시행된 레지던트 1년차 모집에서는 모집인원 3594명 중 314명이 지원해 181명이 선발되는
데
그쳤다. 사직한 인턴 2967명에 대한 모집 공고도 내달 게시된다 ... ...
우울증 관여 유전자 300여 개 발견…"새 치료법 개발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우울감을 느끼고 있는 여성의 모습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부정적인 사건, 신체적 질병,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후천적 요인뿐 아니라 ... 연구는 새로운 우울증 치료법을 개발하고 우울증 발병 위험이 더 높은 사람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참담한 여객기 사고…사라지지 않는 안전불감증
2025.01.15
접근하던 중 관제탑이 '조류 활동 경고'를 발령했고 그로부터 2분 후에 기장이 '메이
데
이'를 세 번 선언한 후에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를 외쳤다는 것이 전부다. 여객기의 착륙 과정을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었던 관제사의 생생한 증언은 끝내 들을 수가 없었다. 뒤늦게 사고 여객기의 ... ...
음식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청정수소 생산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소요됐다. 반면 연구팀은 600℃ 이하의 온도에서 단 몇 분 만에 산소 공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고온에 의존했던 청정수소 생산 공정을 저온에서 실현 가능하도록 바꾼 것이다. 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열화학적 수소 생산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에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며 “마이크로파 ... ...
사람 대신 노후 터널 안전 지키는 AI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기대된다. 박선규 건설연 원장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콘크리트 점검을 할 때 훈련
데
이터의 부족으로 인한 현장 적용의 한계점을 생성형 AI로 해결할 수 있어 노후 인프라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연 입주기업 '라스트마일'과 함께 진행한 이번 연구는 건설연의 2024 ... ...
스마트워치로 우울증 예측…정신질환 진단 편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보였다. 김대욱 교수는 “수학을 활용해 그동안 잘 활용되지 못했던 웨어러블 생체
데
이터를 실제 질병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어 매우 뜻깊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연속적이고 비침습적인 정신건강 모니터링 기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 ...
"우주산업서 한국만의 경쟁력, 우주 태양전지에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로부터 배우고 있다. 우주 태양전지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을 때 노 CTO를 영입하는
데
주력했다. 노 CTO는 세계적 태양전지 연구기관인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에서 우주 태양전지를 전공한 전문가다. 한국에도 우주 태양광 전문가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노 CTO를 수차례 찾아가 창업 이유를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