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문"(으)로 총 1,2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과학동아 l1986년 07호
- 다음은 아직도 시원히 해명하지 못하고 있는 잠과 꿈의 현대적 풀이다. 원전은 C.EVANS의 'Landscape of the night,와 E.Hartmann의 'The Functions of Sleep'로서 최광복씨가 편역했다.외계인이 지구 상공으로 날아와서 지구의 생물들이 사는 꼴을 자세히 관찰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한눈에 "이 곳은 살 곳이 못되는군" ...
- '라더포드'가 들여다 본 원자과학동아 l1986년 07호
- 원자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밝히는 것은 물리학자들의 오랜 꿈. '라더포드'는 기발한 착상으로 실험을 해 태양계처럼 생긴 원자모형을 제시한다. 그러나 아직도 안풀린 문제들은…'톰슨'의 건포도 빵 모형19세기의 물리 학계는 산업혁명에 큰 몫을 한 증기기관의 연구 때문인지 열역학에 큰 비중을 ... ...
- 기아 중앙기술연구소과학동아 l1986년 06호
- 기아 중앙기술연구소(소장 정남학)에서는 경량화 자동차 전산화된 신형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는 곳이다. 소비자에게 보다 질이 좋고 보다 값이 싼 제품을 공급한다는 목표로 종합 기술분야인 자동차에 활용할 수 있는 국내외의 신기술정보, 생산 및 품질정보, 최첨단 정보등을 수집, 연구 분석하여 ... ...
- 지상 최대의 초전도 입자가속기 제작과학동아 l1986년 05호
- 미국 '페르미'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지상 최대의 새로운 입자가속기의 모델실험이 완료되었다. '테바트론'이라는 이름의 이 모델은 실제의 20분의1 에너지 수준인데 오는 95년 가속기가 완성되면 현재 가장 강력한 '바타비아' 가속기 보다 20배 이상 큰 출력을 낼 것이다. 완성될 입자 가속기의 명 ... ...
- 현대선박해양연구소(HYUDAI MARITIME RESEARCH INSTITUTE)과학동아 l1986년 04호
- 2백억원을 투자하여 84년에 출범 경제성 있는 신형선 개발로 조선수주 늘려 첨단화 서둘러 국제경쟁력을 높이는데 주력세계 각국 조선업계의 경쟁은 치열하다. 선박의 형태와 기능도 복잡 다양해지고 있다. 기술을 개발하지 않고는 값이 싸게 선박을 건조한다해도 경쟁에서 이길수가 없다. 더우기 ...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과학동아 l1986년 04호
- 북쪽의 대만과 남쪽의 보르네오 사이에 원시자연이 보존된 많은 섬들로 이루어진 필리핀군도는 아름다운 산호초가 둘러싸고 있다.7천개가 넘는 섬필리핀의 국민학교 교과서에는 이나라의 섬의 수가 모두 7천1백3개라고 쓰여있다. 이 많은 섬 중에서 이름이 붙어있는 섬은 2천7백73개 뿐이며 사람이 ... ...
- 한국의 여성과학자들 기지개 켜고 일어서는 중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짧은 근대과학의 역사속에서 불모지로 남아있던 여성과학계가 기지개를 켜고 있다. 뿌리 깊은 편견을 딪고 일어서는 여성과학자들.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여성과학자는 누구일까? 천문우주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최초의 여성우주인인 소련의 '발렌티나 테렉코바'를 들겠지만 역시 우리에게 ... ...
- 적은영양가에 많은 농약 온실재배채소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온실재배채소를 너무 좋아하지 말자. 영양가는 적은 대신 '약치기'농사로 공해는 심하다.편리하고 좋은세상우리들의 식탁에 오르는 반찬 가운데 채소에 관해서 보면 참 편리하고 좋은 세상이라는 느낌이 든다. 일년 열두달을 두고 계절의 영향을 별로 받지않는다. 무우 배추는 두말할 것는 없이 상 ...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아시아대륙의 4분의1을 차지하는 극한지대 시베리아. 몽고어로 '잠자는 땅'(시비르·Sibir)이란 뜻인 이 광대한 대지는 툰드라와 타이가, 스텝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베리아의 자연시베리아는 동서 7천㎞, 남북3천5백㎞, 면적 1천2백76만㎢나 되는 서쪽의 우랄산맥에서 동쪽의 태평양연안에 이르는 북 ... ...
- 포유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한반도에는 1백여종이 살아. 사향노루 고라니 하늘다람쥐 등이 대표적인 특산종우리나라의 젖먹이 동물은 그 분포가 한반도 동물상의 그것과 일치하고 있다. 즉, 함경남북도에 살고 있는 포유류(젖먹이동물)들은 시베리아쪽의 것과 동종이거나 근사아종(近似亞種)이 많은 반면, 그 이남은 중국의 ... ...
이전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