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시작될 때와 달리 즐기는 나이와 성별이 다양해져 이들이 가진 키와 점프력 등의 차이를
인정
한 것이다. 특히 배구 경기가 공격적으로 바뀌면서 현재와 같이 네트는 더 높이, 경기장은 더 크게 바뀌었다. 6인치는 0.5피트미국에서 주로 쓰는 단위인 피트와 인치는 우리가 사용하는 미터법과 다소 ... ...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디는 그를 삼각함수의 권위자로, 독일 물리학자 카르만은 그를 역학의 권위자로
인정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이야기 대학 입학 수학 시험, 그림으로 풀다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함께 그려 보는 프랙탈 아트 수학 배틀! 최강 도시를 ... ...
만약 노벨 수학상이 있었다면?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가장
인정
받는 최고의 상은? 대부분 노벨상이라고 말한다. 상금도 어마어마하지만 100년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벨상에는 수학상이 없다. 만약 노벨 수학상이 있었다면어떤 수학자가 수상했을까? 노벨상보다 더 나은 수학상이 있을까? 노벨상 시즌을 맞아 궁금하게 생각하는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대학생 때다. 천재성을 숨기지 못했던 내시는 늘 혼자였다. 사람들은 그의 특별함을
인정
하려 하지 않았다.영화 속에서 내시가 사람들에게 ‘내시의 균형이론’을 설명했던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게 각색하여 표로 나타냈다. 만약 내가 가영이라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두 친구의 선택이 동시에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만약 서로 아이를 낳을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벌어진다면 두 집단을 인류라는 한 종으로
인정
할 수 있을까.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고려해야 할 게 많다. 그 중 하나가 토착생물이다. 인류가 이주하기에 적당한 행성을 발견했는데 그곳에 생명이 진화해 살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행성을 지구처럼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끈 박칼린 음악감독은 방송에서 “다해의 장점은 목소리 자체의 예쁜 음색”이라고
인정
한 바 있다. 그녀의 고운 목소리는 노래할 때도 그대로 드러난다. 성악과 출신답게 고음도 척척 소화해 낸다.배다해와 달리 장재인은 평소 말할 때 목소리가 영 힘이 없다. 입술을 오물거리며 어수룩하게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에 의한 효과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최초의 외계행성으로 공식
인정
을 받았다. 그리고 2010년 10월 말에는 이미 약 500여 개의 외계행성이 발견됐다. 이런 외계행성은 어떻게 찾는 걸까. 먼저 최초로 외계행성을 발견한 방식인 ‘극심 시각 측정법’에 대해 알아보자.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미쳤다”고 말했다. 미국화학회 회장인 퍼듀대조셉 프랜시스코 교수도 “이들의 업적이
인정
받는 건 시기의 문제였을 뿐”이라며 노벨상 선정이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4~5년 전 은퇴해 현재 아내의 모국인 필리핀에서 살고 있는 헤크 교수는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너무 기쁘고 놀랐다. 상을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크기가2.45MeV라는 사실을 측정할 수만 있다면 핵융합이 일어났다는 직접적인 증거로
인정
받을 수 있다.국가핵융합연구소 연구진은 지난 7월부터 실시된 3차 실험에서 바로 이런 중성자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에너지 크기가 정확히 2.45MeV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즉, KSTAR의 플라스마 안에서 중수소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법으로 독일 연구팀이 직접 분석해 본 뒤에는 깜짝 놀라며 우리 분석의 신뢰성을
인정
했다”며 당시의 상황을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로 인해 박 박사는 인간 뇌 프로테옴 프로젝트의 공동위원장으로 선출됐다.세계적으로도 뇌단백질체 지도에 거는 기대는 크다. 뇌단백질의 기능을 모두 밝히면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