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해파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기상자료를 분석하고, 인공
위성
사진에서 물의 온도를 판독한다. 한국연근해 해류의 흐름과 해파리 출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이동경로를 알아낸다. 또 전문 잠수부를 동원해 크기가 작고 투명한 독성 해파리에 대한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6~7m 일면서 주변 얼음은 모두 깨져 있었다. 배를 섬 뒤에 피신시켜야 할 정도였다. 기상
위성
자료를 보니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태풍 수준의 큰 저기압이 군도 쪽으로 이동해오고 있었다.큰 얼음이 있는 대륙 쪽으로 더 다가가서 시험을 마무리하자는 의견과 현재 기상상황을 봤을 때 대륙 쪽으로 더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할 때 마침 미국에서 천문학을 공부하고 돌아온 조 박사가
위성
을 통해 생중계된 방송의 통역과 해설을 맡았다. 그는 생중계 도중 너무 흥분한 나머지 의자에서 넘어지는 장면이 TV에 잡히면서 ‘아폴로 박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과학 대중화 활동에 앞장서면서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우주망원경보다 더 넓은 지역을 한 번에 관찰할 수 있다. 미리스는 2010년 말 과학기술
위성
3호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다. 한편 NASA에서는 최근 2025년에서 2035년 사이 JWST를 대체할 새로운 우주망원경 계획을 발표했다. ‘ATLAST(Advanced Technology Large-Aperture Space Telescope)’라는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화면 크기를 키울 수 있다. 실제 밤하늘처럼 별자리를 볼 수 있는 건 아이폰에 장착된 GPS(
위성
위치확인시스템)센서와 나침반센서 덕분이다. GPS센서와 나침반센서가 실내외 구분 없이 현재 위치를 찾아주기 때문이다.포켓유니버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홈 화면에서 ‘앱스토어’ 아이콘을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얻습니다. 그런데 인공
위성
이 보내는 정보에도 아주 작지만 오차가 있습니다. 인공
위성
에는 3개의 원자시계가 달려 있는데, 그 시계의 오차는 3만 6000년에 1초입니다.오차가 굉장히 작은 GPS는 정밀도가 높아 단순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항공기 등의 운송기관에 대한 자동항법 및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자주 발생해요.마그마가 정상 근처까지 올라오면 화산의 한쪽 비탈이 불룩해져요. 인공
위성
으로 보면 어느 부분이 부풀어 올랐는지 금세 관측할 수 있어요. 불룩한 비탈의 경사도가 높아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화산의 분화시기도 예측할 수 있지요. 마그마가 뿜어내는 아황산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 ...
π-day 즐기기 3 깊이 들여다보기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파이값이 필요하지. 파이값을 잘못 계산하면 인공
위성
이 궤도에서 벗어나기도 한대. 인공
위성
이 우주 미아가 되고 마는 거지. 이런 실제 생활의 예를 보면 수학을 통해 과학은 늘 발전하고 진화하는 것 같아.이제 슬슬 파티를 마무리해야 할 것 같아. 아쉽지만 파티를 통해 나와 더 친근해졌길 바라.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발사해 공기 중의 물방울에 부딪쳐 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해 비를 예측할 수 있어요.
위성
이나 비행기에서 관측한 사진이나 자료는 넓은 지역의 기상변화를 보는 데 중요합니다. 기상현상은 세계 전체적인 흐름이므로 세계 곳곳의 관측소는 같은 시각에 관측한 값을 공유하기도 해요. 이렇게 모은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틀어져도 목표 지점을 정확히 촬영할 수가 없다. 좁은 지역을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해서
위성
은 가로, 세로, 높이 세 축을 조절하는 동시에 세 축으로 움직이는 센서의 방향까지 정밀하게 조정해야 한다.이런 노력의 결과일까. 고고학에서는 구글지도를 새로운 연구수단으로 이미 인정하고 있는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