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외계행성 탐험대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행성사냥꾼:테스는 테스 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시민천문학자의 도움을 받은 연구 결과는 19건의 논문으로 발표됐습니다. 그래프로 알아내는 외계행성의 특징대다수 외계행성은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 ...
- [수학체험실] 추상화의 선구자, 피터르 몬드리안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주관적인 느낌으로 그림을 그리는 ‘인상주의’에서 기본 색과 점, 선, 면만으로 우주의 진리를 표현하는 ‘신조형주의’로 바뀌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이뤄진 작품을 내놓습니다. 몬드리안 하면 떠오르는 크고 작은 사각형으로 이뤄진 작품들은 ... ...
- Chapter 02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Chapter 2. 정체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모든 일원이 미지의 외계 물질을 들여오는 것을 엄격히 통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우주에 바이러스가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혹시나 화성에서 한 움큼 가져온 토양에서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라도 한다면 지금까지 알려진 생명의 기원 이론이 통째로 바뀔지도 모른다 ... ...
- 성층권에 기구를 띄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발사 시점과 궤도를 선택하기 수월하고, 발사 대기 시간도 단축할 수 있지요. 최근 우주 산업에서 큐브샛과 같은 소형 위성과 소형 발사체 개발이 활발한 만큼, 성층권 기구 발사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답니다. 기구에서 인터넷 데이터 받으세요!지난 2018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별을 발견한 일등 공신은 바로 시민과학자들이에요. 시민과학자들이 외계 행성을 찾는 우주망원경 테스(TESS)가 수집한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던 중 HD74423의 특이한 점을 발견해 천문학자들에게 알려 주었거든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천문학자들은 HD74423가 물방울 모양인 이유는 근처에 있는 ...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쏠려 뇌압이 높아지고 저항하는 힘이 없어 뼈와 근육이 손실돼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우주비행사들은 매일 2시간씩 운동해야 한답니다. Q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 (이서현 (seohyun5091)) A 땀샘은 오직 포유동물만 지니고 있는 기관이에요. 인간과 낙타, 말, 소 등의 동물은 땀샘을 통해 체온을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우주 경연대회를 열었어요. 슬러바브 교수는 “외계인에게 전할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을 우주탐사선에 실어 보내는 걸 보고 영감을 받았다”며, “수학이란 전혀 대화가 통하지 않은 사람들끼리도 소통할 수 있는 언어이므로 수학을 알지 못하는 어린 친구들도 수학적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않은 2018년 5월, 애덤 프랭크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학술지 ‘우주생물학’에 수학 모형을 이용해 인류가 맞이할 수 있는 4가지 시나리오를 발표했는데, 프랭크 교수 역시 웹 뉴스 ‘커먼 드림즈’와의 인터뷰에서 “2100년 부근에 급격한 기후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며 2100년을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 중에는 바이러스를 생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일례로, 1990년대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구 밖 외계 생명체를 찾기에 앞서 ‘생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논의 끝에 결론 내린 생물의 정의는 ‘다윈의 진화론을 따르는 자립형 화학 시스템(A self-sustaining chemical system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