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정"(으)로 총 4,02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계속 탐색하고, 동시에 무기물과 결합시키거나 유전공학을 이용해 슈퍼균주를 만들어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최고 속도 인공광합성, 꿈의 촉매를 찾아인공광합성은 최근 과학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올해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인공광합성을 상용화할 수 있는 기준 효율(10%)을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진)’는 다리의 일부 구간은 사장교, 다른 구간은 현수교 형태로 만들었다.올해 완공 예정인 터키의 ‘보스포러스 제3대교(위 사진)’ 역시 사장교와 현수교를 합친 형태다. 다만, 자오저우완 대교와 다른 점이 있다. 일부 구간을 다른 형태로 건설한 것이 아니라, 주탑의 좌우는 상판과 케이블이 ... ...
- [소프트웨어] 엑스브레인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건 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할 예정인 김종민 씨와 김대현 씨다. 미국 브라운대 컴퓨터과학과 차규원 씨는 시장 상황에 따라 앨리스의 개발 방향을 정하고 사내 의사소통을 주관한다. 이 모두를 총괄하고 이끌어가는 건 최진영 대표다. 한 명 한 ... ...
- [Editor’s note] 나는 누구? 여긴 어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게임을 마련했습니다. 암호로 가득한 방에서 누가 먼저 탈출하는지 수학자와 겨룰 예정입니다. 여기에 도전할 독자의 지원을 받고 있으니 이벤트 공지를 자세히 살펴보세요.추석 연휴가 있는 달입니다. 수학동아와 함께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굴착이 마무리되는 2018년 6월쯤에 중간에서 각각 이어지면서 두 개의 터널이 완성될 예정이다.지반을 이루는 암석은 단단함에 따라 극경암, 경암, 보통, 연암, 풍화암 등 5개로 나뉘는데 원산도 쪽 지반은 보통 이상의 암석들이 많이 분포돼 있다. 반면, 대천항 쪽은 연암이나 풍화암이 많아 지반이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함께 지사탐 활동을 지원하고, 전국적인 시민과학운동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에요.“수원청개구리를 자꾸만 보고 싶어서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보러 나갔어요. 이렇게 자꾸 나가다 보면 누구나 우수탐사대원이 될 수 있을 거예요.”발대식에서는 교육 스태프 팀들의 우수 활동 사례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밝히기 위해 2018년 국제공동해양시추 프로그램(IODP)에서 로모노소프 해령을 시추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남승일 극지연구소 북극환경자원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참여해 공동연구를 한다. 시추된 빙하와 해양퇴적물을 분석하면 과거 빙하의 규모나 이동방향, 지형의 변77화, 해수면 변동 등을 ... ...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2020년부터 전 바다의 쓰레기를 청소하는 ‘쓰레기 청소 대작전’에 본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에요. 보이얀 슬랫은 “배를 타고 나가 사람이 직접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비용은 33분의 1에 불과하며 청소를 하는 속도는 7900배 더 빠를 것”이라고 예상했답니다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고, 올해 말까지 가속기 실험동을 교내에 구축한 뒤 내년부터 IBS 연구진과 함께 실험할 예정이다.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기르는 1세대 베테랑김은산 교수는 1세대 가속기 과학자다. 국내에서는 교과서로만 가속기를 배울 수 있었던 시절, 물리학을 전공한 그는 석사과정에서 원자핵 물리학을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필드하키팀의 영상분석가 등 일부 연구원들이 선수들과 함께 브라질에 가서 도움을 줄 예정이다. 아직 그 효과가 100%라고 확신하지는 못하지만 100%를 향해서 노력하고 있다. 스포츠 과학의 역할은 선수들의 능력이나 상태를 수치화하는 것이다. 다만 선수 개개인의 생리적 편차가 크기 때문에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