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피부 속 통증 느끼는 새 감각기관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통증을 인식하는 새로운 형태의 감각기관을 발견했다. 패트릭 언포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의료생화학및생물물리학부 교수팀은 피부에서 기계적인 손상을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감각기관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발견한 감각기관은 여러 개의 ...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어느 부위에 가장 오랫동안 얼얼함이 남게 될까.중국국립표준화연구원(CNIS) 농업표준화연구소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케미컬 센시스’ 2017년 7월 5일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사람이 마라 성분인 산쇼올을 섭취하면 농도에 따라 그리고 구강 내 접촉 부위에 따라 강도를 다르게 느낀다. doi: 10.1093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바라고 응원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 ...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영상을 깨끗하게 만들어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딥러닝 기술을 사용해 CT 영상을 학습시키고, 영상에서 필요 없는 부분들을 제외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 CT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어 진단에 도움을 주고 있다.수학은 질병의 ... ...
- 국내 최대 개미왕국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안녕? 나는 안양에 사는 왕개미야. 내가 왜 나왔냐고?혹시 지난 2015년 안양에서 거대한 왕개미 왕국이 발견됐다는 뉴스를 본 적 있니? 그동안 이 지역을 ‘보존한다’,‘개발한다’를 두고 말이 많았어. 그런데 이제 곧 안양시가 우리가 사는 곳을 개발한다고 해. 그래서 걱정이란다. 우리 이야기 ...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국내 유일의 수학 연구소를 이끄는 행정가로, 그리고 다시 대학 총장으로 변신한 사람이 있다. 바로 박형주 아주대학교 총장이다. 박 총장은 미래의 인재는 ‘연결 지성’을 갖춘 사람이라고 말하며 아주대를 이끌고 있다. 연결 지성이란 대체 무엇일까? 연결 지성을 갖춘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요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자료 처리 분야 전문가로 성장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손 교수는 “UST는 국가 연구소를 캠퍼스로 두고 있는 만큼 각 분야에서 연구의 최전선을 경험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며 “이 과정에서 지도교수와 학생은 함께 성장하면서 믿고 의지하는 동료 과학자가 된다”고 강조했다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에너지를 아껴야겠다는 생각에 이중창, 쿨루프 등의 아이디어를 냈어요. 우리 연구소도 족보가 있죠? Q 그래서 옥상에 흰 페인트를 많이 칠하셨나요?2014년에 한 업체에서 페인트를 후원 받아 옥탑방이 있는 옥상을 칠하기 시작했어요. 옥탑방이 여름에 진짜 덥거든요. 이후 언론에 알려지며 ... ...
- [수학뉴스] 수학자 앨런 튜링, 50파운드 지폐에 새겨진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밝혔습니다.튜링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정부가 독일군의 암호 해독을 위해 세운 연구소에서 수학 방정식을 이용해 암호를 해독하는 장치인 ‘봄브’를 개발해 연합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습니다. 또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에 대한 개념을 제시했죠. 하지만 41세의 나이에 ...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2001년 폴 비올라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와 마이클 존스 미쓰비시전기연구소 연구원이 만든 방법으로, 얼굴에서 특정 부위와 주변 영역의 밝기 차이를 이용해 얼굴의 구성 요소를 찾아냅니다. 예를 들어 눈 주위는 대부분 움푹 들어가 있어 눈의 위아래 영역보다 어둡고, 툭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