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가락"(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 - 손쉬운 직류 전동기 만들기과학동아 l1994년 11호
- 둘째·가운데 손가락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펴서 둘째 손가락을 자기장의 방향에, 세째 손가락을 전류의 방향에 맞추면 전자기력의 방향은 엄지가 가르키는 방향이 됩니다(플레밍의 왼손법칙).• 준비물: 둥근 막대, 호일, 막대자석 2개, 전선, 건전지• 실험방법둥근 막대로 속이 빈 호일봉을 2개 ... ...
- 생물- 동물 골격 표본 만들기과학동아 l1994년 10호
- ㉡ 핀셋으로 근육 살점 등을 떼어내고 뼈에 붙어 있는 살점은 칫솔로 문질러 제거한다. 손가락 발가락 척추 등 각 부위의 뼈를 순서대로 놓아 흩어지지 않게 하면 조립 할 때 수월하다.3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두고 완전히 말린다.4 그림의 골격모형을 보며 접착제를 사용해 표본을 완성시킨다.뼈의 ... ...
- 고래가 바다로 되돌아 간 까닭은…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끝에 발굽이 있어 편평하게 돼 있다.골격을 살펴보면 그 동물은 앞발이 짧고 억세며 손가락 같은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다사자의 물갈퀴처럼 바깥쪽으로 부채살 모양으로 벌어지게 돼 있다. 한편 뒷발은 여전히 크고 힘이 있는데 아마도 물갈퀴가 있는 발이 있었을 것이다. 아직 꼬리로의 진화가 ... ...
-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일어나는 산소의 증가를 실시간으로 검출할수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예컨대 사람에게 손가락을 가볍게 두드리도록 하면 뇌의 운동피질 일부가 이 명령을 내보낸다. 이 작용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더 많은 피가 뇌의 그 부위로 흘러들어간다. 그러면 혈액안의 산소가 그 부위 안의 자장을 ...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과학동아 l1994년 09호
- 구조를 잃고 늘어지기 시작하다가 마침내 주름살이 생긴다. 생각해봅시다 II욕탕에서 손가락에 주름이 생기는 이유 피부는 몇겹의 층이 겹쳐서 돼 있다. 가장 바깥쪽의 층(각질층)은 죽어 있는 세포의 층으로, 그 밑에 살아 있는 세포의 층이 있다. 표면이 죽어 있는 각질층은 오랫동안 물에 ...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과학동아 l1994년 09호
- 백여평에 걸쳐 핀 고구마꽃을 촬영. 지방신문에 실릴 정도로 화제가 된 이 꽃은 어른 엄지손가락 크기의 나팔꽃 모양으로, '보통사람은 평생 한두번 볼까말까한 희귀한 꽃'이라고. "대나무에 꽃이 피면 대밭이 망하고 고구마에 꽃이 피면 나라가 어려워진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로 흉작을 예고하는 ... ...
- 식중독, 90% 이상 세균성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독소는 열에 강하므로 식중독을 일으킨다. 포도상구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이 화농된 사람은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 장염 비브리오 세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고 11-15시간 뒤 증세가 나타난다. 주로 복통과 발열이 있고 구토 설사 구역질을 한다. ...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과학동아 l1994년 08호
- 약점이 있는 부분은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합성된 부품을 몸에 부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손가락은 감촉기능만을 담당하고 물건을 들어올리는 기능은 새로이 부착된 인공 팔이 담당하게 되는 새로운 인간(Homo sapiens accessiomembrum)이 나타난다.이러한 유형의 인간은 기계인간의 기능보다 훨씬 더 진화한 ... ...
- (4) 지구 떠나 새 행성을 살 곳으로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넣어 개미가 붙어 밖으로 나오게 한다. 이때 개미들이 전혀 영향을 줄 수 없도록 손가락에는 신경조직이 없으며 개미들을 입으로 훑어서 먹는다.이들은 개미산에 면역돼 있어서 영향을 받지 않지만 체내 분해가 되지 않아 체내에 축적해두기만 한다. 그래서 이들의 고기는 누구도 먹지 못한다. 검은 ...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매우 발달되어 있으나, 사람은 잡식성이어서 맹장이 매우 작게 퇴화하여 겨우 새끼 손가락 크기 정도(5-6㎝)의 돌기로 달려 있다. 수술로 제거해도 아무런 장애가 없다.② 미골근: 대부분의 포유류는 꼬리가 있고 미추도 많은데, 사람의 태아에게는 10개쯤 있다. 어른이 되면 미추가 융합하여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