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모
세모기둥
삼각기둥
d라이브러리
"
삼각
"(으)로 총 1,514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선으로 만든 축구공 분자모형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모이므로 꼭지점의 개수만큼 12개의 정오각형면이 새로 생긴다. 그리고 원래의 20개 정
삼각
형 면은 정육각형이 된다. 이것이 바로 꼭지점이 60개이고 모서리가 90개인 삼십이면체이다. 가죽으로 이런 다면체를 만들고 내부에 바람을 넣으면 축구공이 완성된다.이 실험은 특별한 과학원리를 이용해 ... ...
하나의 은하가 여섯개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지구로부터 11억광년 떨어져 있다. 이번 관측에서 목동자리 은하 3개가 이루는
삼각
형의 외부에 4개, 내부에 2개의 천체 모습이 보인다. 실제 이 천체는 중력렌즈보다 7억광년 더 떨어진 곳에 있는 하나의 은하다.중력렌즈는 우주에서 질량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 ...
착시 노리는 패션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네크라인의 경우 대립적인 효과를 나타내 더욱 둥글게 보이는 착시 효과를 낳는다. 역
삼각
얼굴형에 V 네트라인이나, 스퀘어 네크라인을 사용하면 날카로움이 강조되며, 둥근형의 곡선적인 네크라인은 날카로운 인상을 보완해 준다. 네모난 얼굴형에 스퀘어 네크라인은 각진 분위기를 강조하므로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풀도 탐사망에 들어왔다. 자세히 보니 줄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을뿐만 아니라 긴
삼각
형 모양의 잎에도 잔가시가 많이 보였다. 시어머니에게 구박을 받던 며느리가 죽어서 핀 꽃이 꽃며느리밥풀이라고 하는데, 옛날엔 며느리가 얼마나 미웠으면 이런 잎과 줄기로 밑을 닦으라고 며느리에게 ... ...
오누이가 타고 올라간 동아줄 미수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그것이다. 여름밤 하늘을 찬찬히 음미한다면 어떤 별인지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삼각
형의 가운데를 지나는 은하수를 따라 내려가다 보면, 남쪽에 남두육성이 보인다. 그 남서쪽에 보이는 별자리가 바로 미수이다.동방청룡의 꼬리로 보기 때문에 꼬리 미(尾)자 미수다. 그 바로 서쪽에는 붉고 ... ...
은하수로 떠나는 한여름밤의 꿈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반으로 잘린 불쌍한 별자리다. 땅꾼자리의 오른쪽 위, 왕관자리의 바로 아래에는 세 별이
삼각
형으로 모여 징그러운 뱀의 머리를 나타낸다. 여기서 땅꾼자리 쪽으로 이어진 희미한 별이 뱀의 위쪽 반을 나타낸다. 나머지 반인 뱀의 꼬리 부분은 땅꾼자리의 왼쪽 아래에서 위로 늘어선 어두운 별을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많이 나타나는 고래도 겨울로 들어가면 뚜렷이 적어진다. 그러나 등에 있는 날카로운
삼각
형 등지느러미를 자랑하는 범고래(killer whale)는 겨울에도 기지부근의 바다에 나타나는 수가 있다.세종기지의 겨울나기 세종기지의 월동대원들은 남극의 겨울을 어떻게 넘길까. 먼저 남극의 겨울이 시작되면 ... ...
불가사의한 별 미라가 밝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수 있다. 고래자리의 머리부분에는 밝은 별들이 3개가 찌그러진
삼각
형을 이루고, 미라는
삼각
형 조금 아래에 위치해 있다. 가장 밝은 무렵의 미라는 이들 별에 비해 밝기가 조금도 뒤지지 않아 쉽게 찾을 수 있다.미라를 찾고 나면 1주일에 한번씩 별의 밝기를 주변 별과 비교해 기록해보자. 얼마의 ... ...
3. 복잡성 속 숨은 질서 찾는 확률과 통계 우주선 예비부품 몇개가 필요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즉 매듭간 거리가 일정한 매듭이 12개인 끈고리로 세변의 길이비를 3:4:5로 맞추면 직각
삼각
형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직각을 만들어낸 것이다.이처럼 인류는 아득히 먼 옛날부터 수학적 원리를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이용해서 문명을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수학으로 세상을 표현하는 일은 결코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포물선 방정식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힘이나 초기속도가 비스듬한 방향일 때는
삼각
비를 이용해 이것의 세로방향 성분과 가로방향 성분을 구분하고 각각의 성분을 따로 나눠 분석한다. 이런 분석 방법은 특히 빗면에서의 운동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관련단원옆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던진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