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살"(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몇 년 전 대학의 한 철학 교양 수업, “나는 누구인가”라고 교수가 물었다. 번쩍 손을 든 기자는 “나와 똑같은 DNA를 가진 유일한 사람입니다”라고 답했다. 교수가 반문했다. ... .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것인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유연한 유전자의 비밀은 후성유전학식물은 빛과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생장할 수 있다. 빛이 충분한 경우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잎을 넓게 발달시킨다. 반 ... .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것인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름은 남쪽 나라에서 들여왔다고 해서 남과라고 불렀다. 박제가는 남과에 돼지고기 목살, 새우젓을 넣고 끓여서 자신만의 호박나물 레시피를 개발했다. 이 호박나물이 어찌나 맛이 있었던지, 박제가와 동료 실학자 유득공, 그리고 둘의 아들들이 나눠 먹으며 장편 시를 읊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것을 ‘도그마(이론, dogma)’라고 부르고 싶었다. 처음에는 이것을 ‘가정(hypothesis)’이라고 불렀는데, 이것보다는 더 중요하고 더 강력하다는 의미 ... .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것인 ...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분노), 까칠(역겨움), 소심(공포)이라는 이름을 가진 다섯 명의 의인화된 감정 캐릭터가 살고 있다. 이들은 라일리의 말과 행동, 생각, 마음, 기억회상을 결정하는 조종간을 두고 주도권 다툼을 한다. ‘기쁨’이 조종간을 잡으면 라일리의 유머감각이 튀어나온다. 반대로 ‘버럭’이 조종간을 잡으면 ...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달리, 한쪽 면이 평평해서 액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전시할 수 있답니다.이야기를 담고 살아 움직이는 종이종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는 아주 간단해요. 다양한 색의 종이, 조각도구, 날카로운 칼, 풀만 있으면 돼요. 하지만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지요.우선 종이에 그림을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뇌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계가 필요하답니다.인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살아 있는 사람의 뇌를 관찰할 수 있는 기계로 ‘MRI(자기공명영상)’가 있어요. MRI는 강한 힘을 지닌 커다란 자석이에요. 이 안에 사람이 들어가면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전자파를 순간적으로 발사해요. 그러면 잠시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암은 후성유전학이 가장 처음으로 도전할 질병치료 분야다. 1983년에 미국 존스홉킨스대 앤드류 페인버그 교수는 인간 암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메틸화 정도가 정상세포에 비해 현 ...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송준섭 기자(이하 송) : 후성유전학이 최근 대중의 관심을 받는 이유는 ‘DNA가 모든 것을 결정하지 않는다’는 메시지 때문인 것 같다. 만약 우리의 운명이 DNA에 의해 결정된다면 우 ...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 ...
- 수면 아래 마법이 피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아래 마법 같은 순간들이 피어난다. 제나 할러웨이는 열여덟 살 되던 해 이집트 스쿠버 다이빙 과정에 참가했다가 처음 수중 세계에 매료됐다. 1995년부터 수중 사진 작가로 본격적으로 활동했고, 수중 사진 분야를 한 단계 발전시킨 작가로 평가 받는다. 아름답고 몽환적인 사진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