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통하는 영재의 산실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학문의 융합시대에 맞춰 여러 학문을 연결하는 교육도 중요합니다. 소리과학이라고 하면
물리학
이지만, 생물학에 적용하면 목소리를 내는 발성기관의 구조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동물원에 가서 사자 울음소리를 들으면서 사람과 사자의 성대를 비교하는 식이지요.환경이나 건강이 중요한 시대에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유럽입자
물리학
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유출됐다. 5월 2일 미국
물리학
회총회에서는 우주를 지배하는 미지의 입자인 ‘암흑물질’ 때문으로 추정되는 특이한 관측자료가 발표됐다. 불과 20일 전인 지난 4월 13일, 다른 연구팀이 암흑물질은 없다는 정반대 결과를 낸 다음이라 흥분은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견했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바로 힉스 입자를 떠올리게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입자
물리학
자들의 반응은 전혀 없었다. 실험의 내부 문서는 공식적인것이 아니기 때문에 논할 의미가 없다. 지금 이 순간에도 LHC에서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열심히 힉스 입자를 찾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에피소드일 ... ...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만들 수 있다.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하면 노벨상을 받을 가능성도 높다. 기존 노벨
물리학
상 101개 가운데 20%가 가속기를 활용한 연구다.Q.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나A.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할 때마다 인류의 과학은 크게 진보했다. 미국 화학자 글렌 시보그는 ... ...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잃는 셈이므로
물리학
자들의 관심이 대단하다.이렇게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오늘날까지
물리학
자와 수학자, 천문학자를 매료시키는 아이디어의 원천이다. 그런 아인슈타인과 대화하거나 강의를 듣는 방법은 없을까. 아인슈타인은 오래 전에 타계했지만 다행히 간접적으로 그의 강의를 맛볼 수 있는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빛이 광량자(광자)라는 입자의 연속적인 흐름이라는 광량자설을 발표해 1921년 노벨
물리학
상을 수상했다. 이후 톰슨과 데이비슨 등에 의해 빛의 입자설이 실험으로 증명됐다. 결국 빛은 파동적 성질과 함께 입자적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림 1]주로 여름철에 착용하는 선글라스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연구소의 첫 소장이었다). 그의 노력으로 탄생한 캐번디시 연구소는 20세기 초 세계
물리학
의 중심지가 됐다. 이렇듯 맥스웰은 물리만이 아니라 매사에 열심히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묵묵히 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학생들과 물리에 대해 토론하기를 좋아해서 수업 뒤에도 학생들에 둘러싸여 있기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공학자의 길을 걷고자 한다면 미래의 꿈과 연계해 주제를 선정하면 좋다.그러나 첨단
물리학
주제를 직접 실험해본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현장에서 이뤄지는 연구는 대부분 아주 비싸고 복잡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첨단 물리 주제를 탐구할 때는 자료를 조사하고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반감기와 물리적 반감기, 유효반감기를 구분할 필요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면 ‘핵
물리학
으로 본 후쿠시마 원전사태’편 참조.4 [식품과 토양] 먹을거리는 안전한가체르노빌 사고 이후 유럽 지역에서는 토양과 생물, 먹을거리에 대해 오랜 연구가 이뤄졌다. 장기 연구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 ...
금혜원 사진전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난류현상이 고전
물리학
으로 풀지 못한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복잡계
물리학
은 카오스 이론을 이용해 무질서해 보이는 난류의 흐름 속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질서를 찾는다.재개발의 물결이 관점에서 재개발의 문제 역시 생각해 보자. ‘푸른 커튼’은 건물이 철거된 맨땅의 흙이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