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용"(으)로 총 5,8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거예요.Q과학 동영상을 만들 때 가장 신경쓰는 건 무엇인가요?재미를 최우선으로 둬요. 내용만 나열해서 과학을 설명하면, 지루한 과학 수업이 될 게 뻔하니까요. 아무도 흥미를 갖지 않고, 아무도 과학의 중요성에 공감하지 못할 거예요. 하지만 사람들이 과학 이야기를 들으며 웃는다면, 과학을 ... ...
- 언제 터질지 모르는 다이너마이트? 도시가 늙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도시 곳곳에 의문의 경고장이 붙기 시작했어. 도시에 다이너마이트가 있다는 무시무시한 내용이었지! 악당의 소행일까? 다이너마이트가 폭발하기 전에 얼른범인을 잡아야 하는데…. 일단 도시 곳곳을 뒤져 봐야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도시 노후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한다! Part2. ... ...
- 생존비법! 3의 법칙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온도가 낮으면 3시간, 물이 없으면 3일, 식량이 없다면 3주밖에 살지 못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답니다. 사람은 체온이 30℃ 아래로 떨어지면 심장 박동이 불안정해지며 생명이 위험할 수 있어요. 다행히 동굴 내부 온도는 24℃ 정도로, 동굴 내부의 습기로 인한 가벼운 저체온증만 걱정되는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유명해진 판소리 ‘흥보가’의 한 대목이죠? 심술궂은 놀부가 제비를 잡으러 나서는 내용을 담고 있지요. 그런데 진짜 제비 몰러 다니는 연구자가 있대요! 바로 흥부처럼 제비를 구하기 위해 앞장서는 정다미 연구원이지요. 새에 대한 사랑이 잔뜩 묻어 있는 꾸룩새연구소에서 정다미 연구원의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투표는 세계 표준학계 저명한 과학자들의 기조강연으로 포문을 열었다. 기조강연의 핵심 내용은 절대적으로 영원히 변치 않는 ‘기본 상수’로 단위를 재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과학자들은 단위를 재정의해야 하는 이유로 두 가지를 꼽았다. 하나는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아주 미세한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분석해 양의 통증 여부를 알아내고,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이 내용을 제12회 ‘얼굴 및 행동 인식 국제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양에게 가장 심한 통증을 안겨 주는 질병은 발굽에 생기는 질병입니다. 발굽이 썩어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고통스럽고, 전염성도 있습니다. 또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교토 신사 | 에도 시대에 일본인들은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고 나서 나무판에 그 내용을 적어서 절이나 신사에 공물로 바쳤습니다. 이것을 ‘산가쿠’라고 하는데 아직도 일본 곳곳에 있는 신사에 가면 수학 문제가 새겨진 산가쿠를 볼 수 있어요. 미국 보스턴 파뉼 홀 마켓플레이스 | 미국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최근에 어떤 독자에게 메일이 왔어요. 수학과에 진학하고 싶다며 진로 상담하는 내용이었죠. 그래서 수학 자문 담당 수학과 친구에게 상담을 부탁했어요. 친구는 수학과에 무척 만족하고 있고 안 좋은 점은 하나도 없다고 했고, 독자는 결국 수학과에 진학하기로 했어요. 저는 수시모집 시기에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아이가 수학을 즐기도록 돕는 디자인 토도수학은 장애아동의 교육을 위해 학습 내용과 게임을 세심하게 디자인했다. 그랬더니 장애아동은 물론 모든 아이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정 최고운영책임자는 그 이유가 ‘보편적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에 있다고 설명했다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주제에 대해 탐구 활동을 진행합니다. 이후 이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제출하고, 연구 내용에 대해 발표한 뒤 질의 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보통 4월 초 지역 교육청에서 예선이 열리므로, 학기 초에 급하게 준비하기보다는 겨울방학을 이용해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대회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