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통하는 공기에 전류가 흐르는 절연파괴 현상이다.연구팀은 전하가 공간을 움직일 확률을 고려해 번개가 어떤 모양으로 갈라질지 시뮬레이션했다. 우선 공간을 단순하게 생각하기 위해 격자로 나뉜 2차원 평면으로 가정했다. 그리고 격자에 있는 어느 점(구름)에서 절연파괴가 처음 일어나고, 땅까지 ...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김우선 박사는 “안전계수는 식품 제조 회사에서 유통 과정의 여러 요인을 고려해 1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한다”고 설명했다.예상 유통기한이 3개월보다 길 때만약 어떤 제품의 유통기한이 3개월보다 길 것 같은 경우에는 위와 같이 실측실험을 하기 어렵다. 레토르트 식품★처럼 1년 이상 품질이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돌려놓으면 동해바다에서 해가 떠올라 불상을 비춘다. 석굴암을 만들 때 신라 사람들이 고려했던 점과 종교적인 의미를 가상현실로 구현한 것이다.우리나라에서 가상현실로 문화재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대표는 “실제를 가상에 얼마나 정확히 옮기느냐가 디지털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종식시킨 새롭고 강력한 유전자 가위가 2012년 개발된 'CRISPR(이하 크리스퍼)'다. 남궁석고려대에서 생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미국 예일대와 펜실베니아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했다. 현재 충북대 동물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생화학에서 구조생물학, ... ...
- 피곤한 투수, 팬들은 불안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시즌을 마칠 때 피로도가 보통 1000 정도였다. 아직 시즌이 3분의 1도 지나지 않은 점 을 고려하면 권혁이 많이 던지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반면 권혁 못지않게 많은 이닝을 던진 KT 장시환의 피 로도는 356이었다. 권혁과 대조되는 결과다. 장시환은 많은 공을 던진 뒤 충분히 휴식을 취한 반면 권혁은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11 위, 나고야 18위, 고베 20위). 이유는 건물의 내진 설계 다. 반면 네팔은 내진 설계를 고려하지 않은, 벽돌을 쌓아 만든 오래된 건물이 대부분이다. 지진 피해는 대 부분 지진파 중에서 S파에 의해 발생한다. 수평으로 진동하는 S파는 건물을 좌우로 흔든다. 벽돌식 건물 은 지진 규모가 5.0만 넘어도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다. 이 경우 ‘심성이 뒤틀렸다’는 의미에서 ‘배배 꼬였다’는 표현을 쓴다(‘다음 고려대 한국어대 사전’에도 나오는 관용적 표현이다). 관용어 중에는 물리적으로 의의가 있는 말이 많은데, 이 배배 꼬였다는 표현도 그렇다. 고무줄 뭉치나 실타래, 밧줄, 전화선 등 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2~3층을 넘어선 고층 한옥을 짓는 것은 경제성과 예술성, 문화적 정서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옥의 진화는 현재진행중요즘에는 누구나 한옥의 정취를 일상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공공건축물을 한옥으로 짓고 있다. 이강민 국가한옥센터장은 “사람들이 ...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직접 관찰하는 실험과 함께 화학 탐구의 중심을 이루는 하나의 축이 됐다. 조은성 고려대 생명정보공학과 교수는 “계산화학이 실험을 완전히 대신할 순 없지만, 앞으로 더 정확한 계산이 가능해지면 실험을 대체하는 비중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석민 교수도 “계산 분야에서만 SW가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거의 없다. 과거에는 닭을 토대로 티라노사우루스를 복원했기 때문에 이 근육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었다.퍼슨 박사는 이 근육 덕분에 파충류가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면서, 티라노사우루스도 시속 30km 정도로 빠르게 걸었을 거라고 추측했다. 결국 최대 시속 8km인 자이로스피어는 티라노사우루스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