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바꾼다. 양극과 음극에서 각각 인위적으로 정공과 전자를 주입하면, 이들이 재
결합
하면서 빛을 낸다. 이것은 바로 LED와 OLED의 원리다(2011년 10월 실험 과학여행 LED설명 참고).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떠오르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로 1987년 미국 이스트먼코닥사의 중국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일어난다.만약 α 값이 지금보다 작으면 고체 원자 물질의 밀도가 줄어들어 분자 간
결합
이 낮은 온도에서도 깨지고 만다. 그Kornmesser렇게 되면 주기율표에서 안정적인 원소의 수가 늘어날 수 있다. 이런 화학적 변화로 세상의 모습은 확 달라진다.반면 α 값이 너무 커지면 작은 원자핵이 존재할 수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티오황산나트륨을 쓴다. 아초산나트륨은 시안화수소보다 효소와 더 빨리
결합
해 독의 작용을 방해한다. 티오황산나트륨은 시안화수소를 티오시안산이라는 해가 없는 물질로 바꾼다. 이 물질은 배설이 잘 되기 때문에 독성을 몸 밖으로 빼내는 역할도 한다. 문제는 해독제를 정맥에 주사해야 한다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찍은 용골자리 성운의 모습을 공개했다.][➋ 케플러의 이미지 센서. 42개의 CCD (전하
결합
소자)로 이뤄져 있으며, 화소의 수는 약 9500만 개다.][➌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예산 문제로 발사가 몇차례 미뤄졌다. 현재는 2018년 발사 예정이다.][➍ ESA의 플랑크는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해 빅뱅이 일어난 지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991년 7월 11일 덴마크 남쪽 빈데비 해상에 높이 40m가 넘는 풍력발전기 11기가 우뚝 섰다. 해안가로부터 1.5km나 떨어져 있어 육지에서는 흐릿한 기둥처럼 보일 뿐이다. ... 있는 복합형 해상풍력 발전 단지 조감도. 해상풍력 단지 아래 가두리 양식과 ‘아쿠아리움’을
결합
한다는 계획이다.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않던가? (…중략…)물이 수소
결합
을 하기 때문에 표면장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수소
결합
으로 물은 둥글게 뭉친다. 뭉쳐진 물이 볼록렌즈 역할을 해서 상을 확대한다. (…중략…) 유리렌즈는 유연성이 없어 초점을 맞추려면 렌즈 자체를 움직여야 한다는 최대의 약점을 안고 있다. 물은 두께를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느끼는 감각을 직접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기술이 사람의 생각을 읽는 기술과
결합
된다면 영화처럼 나와 아바타가 하나가 되는 날이 현실이 될 것이다.지금까지 살펴 본 방법들은 뇌의 깊은 부분을 자극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뇌의 깊은 부분은 인간의 복잡한 감정이나 기억을 담당한다.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인플루엔자의 진화적 기원을 탐구하고 전파를 막을 수 있는 리간드(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
하는 물질)의 조건을 찾았다. 영어로 된 연구논문을 찾아서 읽다 보니 영어 실력도 좋아졌다. 한 달 반 만에 텝스(TEPS) 성적이 500점대에서 800점대로 뛰었다. 이 연구로 하영 군의 팀은 서울에서 금상을 받고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낮았다. 이 때문에 빙산이 충돌했을 때 외벽이 쉽게 깨졌을 가능성이 있다.철판을 서로
결합
시키는 리벳에 책임을 돌리는 의견도 있다. 제니퍼 후퍼 매카티와 팀 포이크라는 두 재료공학자는 2008년 빙산이 외벽을 스치면서 리벳이 떨어져나와 물이 들어갈 수 있는 틈이 생겼다는 내용이 담긴 책을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DNA앱타머가 표적단백질과
결합
해 뚜껑이 열리고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 표면의 항원과
결합
해 성장을 억제한다.연구자들은 “나노로봇을 이용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오리가미는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새로운 생체조절물질로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