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이하
아래
이후
이래
그늘
배후
d라이브러리
"
나중
"(으)로 총 1,338건 검색되었습니다.
로터스로 작성하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007
있는 B1 셀에 이름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이름은 \a로 입력한다. 이 이름을 부여하면
나중
에 B1 셀의 매크로를 Alt+A키를 눌러 실행할 수 있다. 범위를 묻는 질문에는 그냥 Enter키를 눌러 B1 셀을 지정한다. 만약 셀 포인터가 다른 셀에 있었다면 Esc 키를 한번 누르고 셀 포인터를 B1 셀로 옮긴 다음 ... ...
공작
과학동아
l
199006
닭은 지금부터 4천년 전인 청동기시대부터 가축이었다. 처음에는 싸움닭으로 이용했으나
나중
엔 식용으로 길렀다.공작은 기원전 1000년 경에 솔로몬왕이 사육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집트사람들이 닭과 함께 기르는 것을 보고 왕궁으로 가져와 그곳에서 본격적으로 길렀다는 것이다.당시 야생의 ... ...
담수어표본 50만점 기증한 생물학의 큰 스승 최기철 박사
과학동아
l
199006
그날 밤에 숙소에 와서는 이들 채집물을 종별로 나누고 그 결과를 노트에 기록했습니다.
나중
에 이것을 다시 카드화 했죠."이렇게 해서 작성된 카드가 모두 4천9백73장. 이는 전국의 크고 작은 하천 4천9백73개소를 돌았다는 얘기와 마찬가지다. 채집과 분류로만 끝난다면 이 일은 간단하다고 말할 수 ... ...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06
단서의 역할을 해 인출시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보가 부호화되는 방식이
나중
에 그것들을 인출할때 단서가 되면 기억을 돕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저장할 정보와 함께 인출단어들이 부호화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회상될 수 있다. □기억의 정보를 찾아내는 단서로 맥락을 사용하라." ... ...
매머드
과학동아
l
199005
간주되고 있다.매머드 중 고형매머드는 현재의 코끼리와 같이 온난 기후에 적합했으나,
나중
에 나타나서 한랭기후에 적응했던 종류가 매머드의 전형이다.포유류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수공류(Therapsids) 파충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중생대의 포유류는 체구가 작고 수가 적었다. 파충류에 비해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05
일부는 태양에 이끌리고 만다. 단주기 혜성들은 여러번 공전하는 동안에 질량을 잃어
나중
에는 먼지덩어리만 남는 운명에 놓인다. 때로는 행성에 지나치게 접근하여 가속돼 궤도 밖으로 튕겨 나가기도 하며, 접근 정도가 심하면 충돌하거나 핵분열을 일으켜 사라지기도 한다.비주기 혜성들은 한번의 ... ...
용돈관리를 로터스로
과학동아
l
199004
\는 그 뒤에 나오는 한 문자를 셀의 폭에 가득차도록 만들어준다. 이 방식의 장점은
나중
에 셀의 폭을 번경시키더라도 줄은 항상 셀의 폭을 꽉 채우게 되므로 수정하지 않아도 좋은 것이다.(그림 2)의 워크시트는 (그림 1)보다 외관은 세련되게 개선됐지만 기능면에서 개선해야 할 여지가 많다. 이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03
청동기들 중에는 숭실대학교 박물관의 돌거푸집에 꼭 들어맞는 것도 있다.그러다가
나중
에는 기술자가 기술과 원료를 함께 가지고 가서 일본에서 청동기를 만들어냈다. 기술 이전의 첫 단계가 이루어진 셈이다. 그 다음에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기술자가 일본에서 직접 청동원료를 찾아내 현지에서 ... ...
중금속 오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003
피부염을 일으키는 예를 흔히 볼 수 있다.이 피부염은 니켈의 접촉면이 몹시 가렵고
나중
에는 빨갛게 붓고 짓무르는 증상을 보인다.■아연/발열 오한아연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데 산업장에서는 금속아연의 정련과 주조 합금 및 아연화합물의 제조 및 사용과정에서 중독증상이 나타난다 ... ...
최근에 개발된 명약 이야기
과학동아
l
199002
스퀴브사의 행운은 영국의 배인(Vane)교수를 고문으로 썼다는데서부터 출발한다.
나중
에 프로스타 글라딘(prostaglandin) 연구로 노벨상을 받게 되는 배인박사는 1968년 스퀴브의 연구원들에게 자신의 연구, 즉 우리 몸안의 안지오텐신Ⅱ(angiotensin Ⅱ)라는 단백성분이 혈압을 상승시키는데 뱀의 독성분이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