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스페셜
"
특정
"(으)로 총 1,532건 검색되었습니다.
'딱 한 잔인데 어때'는 안일한 생각…술 한 잔에도 운전중 인지능력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교수 공동 연구팀은 중국 내 10개 지역에서 성인 51만 2715명을 10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특정
유전자(ALDH1과 ALDH2)에 변이를 가진 16만 1498명이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만약 일주일에 알코올을 280g씩 마신다면 이 유전자 변이가 있떠라도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장내미생물의 약물 대사와 관련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어떤 약물의 대사는
특정
박테리아의 존재나 밀도보다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양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8명의 분변 시료에서 얻은 장내미생물 배양액에 딜티아젬을 넣어 대사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 내민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희망'이다
2019.06.22
유발시킨 후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면 많은 이들이 자신을 소외시킨 사람들 외의 불
특정
다수를 향해 화와 공격성을 표출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컨데 매운 음식을 싫어한다고 하는 낯선 이의 음식에 몰래 핫소스를 퍼부을 기회를 주면, 소외당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기꺼이 많은 양의 핫소스를 붓는 ... ...
SNS 게시글은 말한다. 당신이 당뇨에 걸릴 가능성 높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같은 SNS에 사용한 언어 패턴을 통해
특정
질환에 대해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사용한 언어 패턴을 분석해 사용자가 어떤 질환에 걸렸는지 알아내는 방법이 개발됐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와 ... ...
산모 혈액만으로 다운증후군 더 정확히 판별하는 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염색체의 개수를 가려내는 것이다. 임산부 혈액에 존재하는 미량의 태아 DNA를 분석해
특정
염색체 개수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별한다. 다운증후군은 2개가 존재해야 하는 21번 염색체가 3개가 있을 때 나타난다. 산전검사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양수검사로 이어지는데, 양수검사는 합병증 위험이 있는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년 또는 10년 주기로 국가 당뇨병 예방 정책을 운영하는 것이다. 또 북한에서는 의사들이
특정
지역을 맡아 담당하는 주치의제를 실시하고 있다. 의사 한 명당 130가구를 책임지고 예방 접종이나 진료, 보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예방정책이나 주치의제만으로는 당뇨병 발생률을 줄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많은 조그만 돌멩이 중 하나에 불과하다. 반면 크립톤86은 주기율표에 있는 36번째 원소의
특정
한 동위원소이므로 과학이 충분히 발달한 문명권이라면 이 원소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자연표준은 우리 우주의 보편성을 담지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보편성’을 추구하는 일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를 만드는 것보다는 폐암과 유방암 같은
특정
질환에 초점을 둬서 개발하고 있다. 지금은 영상 데이터 기반으로 AI를 개발하고 있는데, 유전체 데이터와 의무기록 데이터 등을 활용해 포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싶다. -의료용 AI가 꽤 정확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미생물의 바다 '마이크로바이옴'
동아사이언스
l
2019.06.01
157명의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등
특정
세균이 과다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임신 초기에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면 조기분만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유전체는 노화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점돌연변이가 쌓이는데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특정
구조 변이의 발생 시점을 추정하는 기술을 개발해 이를 검증했다. 연구팀은 흡연과 무관한 폐암에서 융합유전자에 의해 폐암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 KAIST 제공 어린 나이에는 흡연을 하지 않기 때문에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