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길잡이
지표
입문서
바늘
길라잡이
가이드
안내서
뉴스
"
지침
"(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확진환자 접촉 의료진 쉬쉬… 일반환자에 마스크도 안줘
동아일보
l
2015.06.04
내려달라”는 글을 올렸다. 마스크를 써야 하는지, 의심 환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지침
이 없어 답답함을 느꼈기 때문이다. B병원은 부랴부랴 이날 오후에야 직원들에게 마스크를 지급했다. 그러나 그곳 미화원들은 화장실 휴지 등 병원 내 폐기물들을 마스크 없이 치우고 있었다. C병원의 경우 ... ...
초등 교실 ‘학부모가 책 읽어주기’ 확산
동아일보
l
2015.06.04
0여 명에게 ‘병원을 방문하는 부모들에게 책 읽어주기의 효과를 설명하고 전달하라’는
지침
을 내렸다. 미국 소아과학회 연구결과에 따르면 책을 읽어주는 소리는 아이의 두뇌를 자극해 새로운 세포 형성을 촉진한다. 또 부모의 낭독을 듣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아이들은 부모와 정서적 교감을 ... ...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전자기록 의무화? 쓰는 사람 못봐”
2015.06.01
다른 노트에 이중으로 기록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종이 연구노트의 경우 연구노트
지침
에서는 30년간 보존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장기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또 필요한 연구노트를 한번에 찾는 일도 쉽지 않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한 책임연구원은 “종이 연구노트는 검색도 ... ...
메르스 환자 5명으로 늘어...의사도 감염, 채혈 돕던 간호사 까지 의심
동아닷컴
l
2015.05.27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한층 강화된 접촉자 격리
지침
을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접촉자가 38도 이상의 발열 증상을 보일 때만 국가 지정 입원 치료 병상으로 이송해 유전자 진단 검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37.5도의 발열만 보여도 이송한 뒤 유전자 검사를 ... ...
[수도권/건강 100세]뼈 통증 지속될 땐 다발성골수종 의심을
동아일보
l
2015.05.26
참여하고 있는 국제골수종실행그룹(International Myeloma Working Group·IMWG)이 매년 진단과 치료
지침
을 발전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10년 전 한국 다발성골수종연구회를 출범시킨 이래 아시아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국제무대에서 매우 단단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여전히 환자들에게, 또 의료진에도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로봇 반란 막으려면
2015.05.23
는 ‘로봇 안전행동 3대 원칙’이란 이름으로 ‘서비스 로봇이 갖춰야 할 안전
지침
’을 만들어 KS규격으로 제정했다. 인간보호와 명령복종, 자기보호라는 로봇 3원칙에서 핵심 내용을 그대로 가져왔다. 최근에는 로봇이 인간보다 더 고도의 지능을 가질 상황에 대비해 새로운 ‘2대 프로토콜(규약 ... ...
[청년드림]윤성규 장관의 환경분야 취업 조언
동아일보
l
2015.05.20
德不孤·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다)’의 덕을 성으로 바꾼 것. 윤 장관이 인생의
지침
으로 삼고 있는 가치관이다. 윤 장관은 “성실하면 언젠가는 인정받게 되고 노력의 결실을 보게 된다”며 “각자의 사정에 따라 때로는 난관에 부닥칠 수도 있겠지만 성실한 사람은 그런 때에 주변에서도 ... ...
국립부산과학관 초대 관장 뽑는다
2015.04.12
교수를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설립위는 9일 과학관 건설 현장에서 1차 회의를 열고 운영
지침
과 임원후보자 선출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10~24일 과학관 관장을 비롯한 임원(비상임감사 및 이사) 후보자 추천을 위한 공개 모집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부산과학관의 초대 관장이 선발되면 6월 말 ... ...
[횡설수설/정성희]콜레스테롤의 사면
동아일보
l
2015.02.13
위험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 정부가 자문위 결정을 받아들여 ‘미국인 식생활
지침
’을 개정하면 콜레스테롤은 54년 만에 나쁜 물질이라는 오명을 벗게 된다. ▷사카린이나 MSG 같은 식품첨가물도 오랫동안 유해 논란에 시달렸다. 설탕보다 당도가 300배나 높고 가격도 저렴한 사카린은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개별 의견. - 서울 인문계고 A 교사(생명과학 담당) 고교 교과 과정에서 교육부
지침
에 따라 공부한 학생은 보기 ‘ㄱ’을 잘못된 설명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대학 수준의 공부를 한 학생, 특히 특목고 학생들이 유리한 측면이 있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B 연구원 애매한 표현이 논란을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