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신소개"(으)로 총 2,4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공감은 항상 좋은가? 2018.06.24
- 공감 능력은 인류가 가진 독특하고, 위대한 정신 작용입니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고, 감정을 느끼는 것은 아주 당연한 일처럼 보이지만, 사실 인류 외에는 공감 능력을 가진 동물이 거의 없습니다. 침팬지 등의 대형 유인원이나 돌고래, 코끼리, 개 등이 공감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있지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2018.06.23
- 삶이 허무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모든게 다 부질 없는 거 같고 ‘나는 도대체 왜 사는 거지?’라는 존재론적 질문이 떠오를 때가 있다. 이런 허무감은 왜 찾아오는 걸까? GIB 제공 인간은 ‘의미’를 찾는 동물이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의 심리학자 마이클 스티거(Michael Steger) 등의 연구에 ... ...
- [테마영화] 영화로 떠나는 도시 여행 BEST 32018.06.23
- 인간은 시간과 공간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고 했던가. 영화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배경이 되는 공간이다. 특히 공간은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인물의 특성을 결정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제목 자체를 지명으로 차용한 영화들이 있다. 최근 개봉한 영화 중에선 캐 ... ...
- [스타트업, 결정적 순간] 유료전환하니 회사 휘청...작가와 선순환으로 J커브 그린 폰테마샵2018.06.22
- "성공한 창업가들이 꼽는 결정적 순간은 언제일까? 큰 성공을 만든 순간, 뼈아픈 실패로 이어진 순간, 성장을 위한 인사이트를 얻은 순간, 간과했던 서비스의 본질을 마주한 순간까지 그들은 어떤 판단의 근거로 어떤 선택을 했고 어떤 결과를 얻었을까? 그 결정적 순간을 파헤친다. '스타트업 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나는 중국인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모르겠다... 중국 여성에게 도대체 무슨 치명적인 매력이 있어서 아이들을 많이 낳는지 모르겠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여행 일기에서 그들(아스페르거 증후군 어린이들)은 전적으로 자기중심적이고, 타인에 대한 존중이라고는 도대체 없다. 이는 의식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완성형… ‘월-E’동아사이언스 l2018.06.18
- ⑩지능형 서비스 로봇, 독특한 기계구조 + 뛰어난 인공지능 갖춰야 영화 월-E의 포스터 한국의 ‘휴보’, 일본의 ‘아시모’, 미국의 ‘아틀라스’, 이탈리아의 ‘워크맨’까지…. 세계 각국에선 사람처럼 두 발로 걷는 ‘인간형 로봇’을 경쟁적으로 개발 중이다. 이런 인간형 로봇 개발자들 ... ...
- 월드컵 문어에 이은 고양이 등장…승부 예측 가능할까?2018.06.17
- 2018 월드컵 누가 우승할까? 승부 예측의 과학 지난 금요일 2018 월드컵이 개막됐습니다. 러시아는 개막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5대 0의 시원한 승리를 가져왔는데요. 러시아의 승리는 이미 예언가 고양이로 불리는 ‘아킬레스’가 예측한 바 있습니다. 지난 월드컵 승부의 족집게 예언가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카리스마는 어떻게 진화해 왔나2018.06.17
- 몇 명의 위대한 사람이 세상을 만들어간다는 오랜 믿음이 있습니다. 인류의 역사는 몇 명의 탁월한 천재, 시대를 앞서나간 지도자, 미래를 내다본 현자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물론 역사는 승자가 쓰는 것이므로, 상당히 왜곡되어 있습니다. 용비어천가의 내용을 곧이곧대로 믿으면 곤란하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나이 먹도록 아무 것도 한 게 없어?2018.06.16
- 유독 자신에게 가혹한 사람들이 있다. 소중한 친구에게는 절대 하지 않을 ‘머저리, 루저’ 같은 나쁜 말들을 자신에게는 서슴없이 하며, 친구에게 상처 줄 행동은 가급적 하지 않으려고 하면서 자신에게는 아무렇지도 않게 상처를 내는 사람들이다. 친구에게는 나쁜 말들을 서슴없이 하며, 유 ... ...
- [아마추어?수학자!] 샌디에이고 주부 마저리, 테셀레이션 수수께끼 풀다 수학동아 l2018.06.13
- ※.편집자주. 어떤 분야를 본업으로 삼지 않고 순수하게 취미로 즐기는 사람을 ‘아마추어’라고 한다. 수학에도 아마추어가 있다. 수학자가 아니지만 수학 역사에 이름을 남긴 이들이다. 누가 있을까 싶지만, 우리가 당연히 수학자라고 생각한 사람도 실은 ‘아마추어’였던 경우가 많다는 사실!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