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뉴스
"
역할
"(으)로 총 8,45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쓰임새에 따라 달라진 식물 분포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지역에서만 나는 식물은 그 지역 사람들에게 독특한 용도로 사용되며 생활에 필수적인
역할
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식물종의 지리적 분포를 아는 것은 인간 생활상에 대한 이해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사무엘 피로논 영국왕립식물원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3만5687개의 식물 종의 ... ...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01.20
상태였다. 1953년 이후에는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3차원 구조 모형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했다. 프랭클린은 1958년 37세라는 젊은 나이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더 오래 살았더라면 훨씬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1. DNA의 구조를 밝히는 결정적 증거를 담고 ... ...
넝쿨 줄기처럼 자라나는 로봇 나왔다…재난재해 지역 탐색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구조화되지 않은 비정형 환경을 탐색하면서 장애물을 피하고 잠재적 지지대 등의
역할
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토레 연구원은 “변화무쌍한 환경에 극복할 수 있는 식물의 다양한 특성에 매료돼 필로봇을 개발했다”며 “필로봇 기술은 건설 등 시설 기반을 형성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 ...
알츠하이머 환자 뇌세포 죽이는 원인 새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것이 확인됐다. 노화한 사람에게선 이 sRNA의 작용으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하는
역할
을 하는 마이크로RNA(miRNA)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iRNA는 20~24개 염기로 이뤄진 아주 작은 RNA 분자다. 연구팀은 이 miRNA를 늘리면 뇌세포를 죽이는 sRNA의 작용으로부터 뇌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日 달 착륙선 '슬림' 20일 0시 착륙 시도…성공하면 세계 5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기원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달 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정보를 찾는
역할
도 할 예정이다. 슬림에 달린 특수 카메라가 잠재적인 수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조사한다. 물 사용 여부는 달의 상업화 가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다. 현재 슬림은 고도 600km에서 달 ... ...
"한국 우주개발, 선언에 그쳐…아르테미스 참여 실체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2개월 여 앞두고 있는 이상률 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우주항공청 설립 이후 항우연의
역할
에 대해 설명하면서도 국내 우주개발에서 아쉬운 점을 토로했다. 이 원장은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한국이 10번째 참여국으로 이름을 올렸지만 어떤 임무에 참여하고 있는 건지 불분명하다는 지적에 ... ...
남극해 ‘짠물’ 생성 과정, 첫 정밀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4000m 이하에서 대양으로 퍼진다. 대기 중의 탄소를 심해로 격리시켜 기후 변화를 늦추는
역할
을 한다. 남극 바다를 장기간 관측할 땐 일반적으로 빙산을 피하기 위해 수심 400m 아래에 장비들을 설치한다. 연구팀은 고염대륙붕수 생성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도전적으로 수심 47~360m 구간에 관측망을 ... ...
만성질환 환자 불안·우울 개선한 '원격의료'…"몇 달간 효과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간호사는 환자들의 증상 관리를 돕는
역할
, 사회복지사는 심리·사회적 돌봄을 제공하는
역할
을 했다. 간호사와 사회복지사는 미리 준비된 질문들을 환자들에게 했고 매주 의사들과 만나 환자 답변에 대해 논의했다. 또 다음 전화 통화에 논의 내용을 기반으로 환자 돌봄을 이어나갔다. ... ...
복제 원숭이 2년 생존…"세계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체세포 복제에서 태반의 형성 과정이 중요한
역할
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영장류의 복제 메커니즘에 대한 단서를 찾았다”며 “체세포 복제의 성공률을 높이고, 영양막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유전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영양 성분은 아니다. 그러나 불소가 치아 표면의 에나멜을 단단하게 만드는 긍정적인
역할
을 하기도 한다. 순수한 상태의 이원자 분자인 불소(F2)는 연한 황록색의 기체로 인체에 강한 독성과 부식성을 가지고 있다. 다행히 맹독성의 불소는 자연 상태나 일상생활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그렇다고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