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뉴스
"
숫자
"(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밀번호 톡톡]어머니에게도 ‘쉿’… 정맥 인식도 안심 못해
동아일보
l
2016.04.29
비밀번호 체계가 달라서 로그인 할 때 애를 먹어요. 어떤 곳은 영문 대문자와 소문자에
숫자
를 섞어야 하고 심하면 특수기호까지 넣어야 해요.”(이온유 씨·27·대학생) “치매 예방을 위해 견과류도 챙겨 먹고 카카오톡에 이모티콘도 써 가면서 나이보다 젊게 산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로그인 화면이 ... ...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현저하게 줄어드는 현상이 확인됐다. 반대로 이 단백질을 과발현 시키자 신경줄기세포의
숫자
가 감소했다. 이규선 연구원은 “신경암과 신경퇴행성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항상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라며 “암 치료제 뿐 아니라 ... ...
2016 아벨상 수상자 앤드루 와일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
수학동아
l
2016.04.27
정리에 대한 도전 정신과 그의 증명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다시 한 번 보여준다. ●
숫자
로 보는 앤드루 와일스와 FLT 2 와일스는 2000년에 영국 왕실로부터 2등급 훈장을 받았다. 7 FLT가 풀린 뒤 난제에 도전하고픈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7가지 밀레니엄 문제. 41 증명이 완성됐을 때 와일스의 나이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가 분열을 통해
숫자
를 늘리는 중 유전자 재조합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난임이나 불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최근 8년간 국내 난임 및 불임 인구는 20만 명이 넘었으며, 이중 남성 불임은 최근 7년간 66.9%의 ... ...
카카오톡 바퀴벌레 프사, 정답은?
2016.04.25
은근히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조건에 따라 답이 달라지기도 하고 반복되는 과정으로
숫자
가 헷갈리기도 하고 말이죠. ① 빈 병을 한 번에 가져다 줄 경우 단순히 빈 병 20개를 한 번만 가져다주고 끝이라면 아주 간단히 답이 나옵니다. 빈 병 2개당 콜라 1병이니 20÷2=10. 10병이 답입니다. ② 마시고 ... ...
투명 랩만큼 얇다, 손등에 딱 붙는 초박막 전자피부 개발
2016.04.18
도쿄대 제공 손등에 주방용 랩보다 얇은 투명한 막을 붙였을 뿐인데, 잠시 후 그 위에
숫자
가 표시된다. 중지 안쪽에 붙어 있는 전자피부 센서가 혈중 산소량을 탐지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일본 연구진이 최근 개발한 초박막 전자피부 ‘e-스킨(skin)’ 얘기다. 소메야 다카오 일본 도쿄대 ... ...
요즘 페이스북 재미있나요?
2016.04.17
친구들 사이에 할 법한 이야기들을 올리는 일이 줄어든 것입니다. 그럼에도 전체적 공유
숫자
는 크게 차이 나지 않았습니다. 뉴스 기사 링크나 외부 자료 공유가 그만큼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페이스북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겠습니다만, 대체로 나와 가까운 가족 친구의 ... ...
류인균 뇌융합과학원장 “두뇌는 캐도캐도 알 수 없는 미지의 탄광”
동아일보
l
2016.04.12
제 머릿속에
숫자
‘7’ 같은 단어 하나가 어떻게 기억되는지도 잘 모르겠어요.” 최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뇌융합과학연구원에서 만난 류인균 원장(52)은 인간 두뇌 연구의 수준을 묻자 겸연쩍게 웃으며 이렇게 대답했다. 2013년 4월 설립된 연구원에서 50여 명의 연구진을 이끄는 류 원장은 ... ...
반도체 마의 벽 넘은 삼성 “中, 따라와 봐”
동아일보
l
2016.04.06
D램 반도체 칩 안에 있는 회로의 선폭이 18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라는 의미다. 나노 앞
숫자
단위가 낮아질수록 같은 크기의 생산라인에서 더 많은 양의 반도체 칩을 생산할 수 있다. 일정한 면적 위에 굵은 사인펜으로 글씨를 쓰는 것보다 얇은 볼펜으로 더 많은 글자를 쓸 수 있는 것과 같은 ... ...
[김상욱 교수의 과학 에세이]초미세를 측정하면 과학혁명이 보인다
동아일보
l
2016.04.05
돌아가자. 라이고는 100경분의 1m의 길이 변화를 잰다. 100경이면 1에 이어서 0을 18개 쓴
숫자
다. 현재 이렇게 짧은 파장의 빛을 직접 다루는 기술은 없다. 라이고는 가시광선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빛으로 길이 변화를 직접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빛을 둘로 쪼개었다가 합친 후 생기는 차이를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