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뉴스
"
먹이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주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역할에 주목한 것. 프리바이오틱스는 장내유익균의
먹이
가 되는 성분을 말한다. 필자는 몰랐지만 사실 사과가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는 이미 2010년 학술지 ‘혐기성생물(Anaerobe)’에 발표됐다. 즉 2주 동안 매일 사과 두 알씩 먹게 했을 때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아프리카 원주민이 탈을 쓰고 신나게 춤을 추고 있다. 흥겨운 북소리를 듣노라면 덩달아 엉덩이가 들썩거린다. 모기의 발바닥 끝을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했 ... 부위의 실제 크기는 머리카락 한 가닥과 비슷하다. 이 더듬이는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어
먹이
를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
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타고 3단계 이상 전이될 수 있음을 시각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연구결과”라며 “
먹이
사슬을 타고 충분히 사람까지 나노입자가 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 안 교수는 “실험에 쓴 나노입자는 배설물을 통해 배출됐기 때문에 체내에 농축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종류에 따라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부모세대가 방사능에 많이 오염된
먹이
를 먹은 경우 정상
먹이
를 먹여도 일부에서 앞날개 크기가 작은 기형이 나타났다. 오타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오염된 정도와 관계없이 방사능 자체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라며 “오염원을 ... ...
해파리도 수학으로
먹이
찾는다
2014.09.22
레이놀즈 박사는 “배럴 해파리에게는 먹잇감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과 먼 거리의
먹이
로부터 풍겨오는 냄새가 가장 강한 지점을 탐지하는 능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레비 워크의 개념을 기존보다 훨씬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초파리가 연구에 도움 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불어나는 귀찮은 벌레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몸집이 작고 빠른 시간에 번식하며 값싼
먹이
로 키울 수 있다는 특징 덕분에 초파리는 생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실험체가 돼 왔다. 초파리는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10일이 걸리고, 이후 2~3개월 정도 살다가 죽는다. 사람의 1년이 ... ...
언어유전자, 학습 능력 ↑
2014.09.16
유전자가 들어 있는 쥐는 일반 쥐보다 T자형 미로에서
먹이
를 찾는 능력이 20% 향상됐다.
먹이
가 미로 속 어떤 위치에 있는지 더 빨리 배울 수 있게 된 것이다. 앤 그레이비엘 MIT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로 언어 유전자가 학습 능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며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과정을 카메라에 담았다. 책에는 팔색조 새끼들이 알을 깨고 나온 뒤 어미새가 잡아 온
먹이
를 먹고 걸음마를 떼는 모든 과정이 160장의 사진 속에 생생하게 담겨 있다. 팔색조의 생태는 물론 팔색조를 관찰하면서 느낀 저자들의 소소한 깨달음까지 기록돼 있어 한 편의 수필을 읽는 느낌도 든다.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약용 물질과 기능성 소재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먹이
로 삼아 유용한 물질로 바꿀 수도 있다. 실제로 연구단은 인삼에 많이 들어 있는 약효 물질 ‘사포닌’을 미생물에서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효모에 사포닌을 만드는 유전자를 넣어 일주일 만에 20년 된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가능성도 줄어들고(천적도 메뚜기처럼 모여 따라다니기는 어려우므로) 한 영역에 머물러
먹이
를 두고 경쟁할 필요도 없다. 물론 메뚜기가 지나간 자리는 초토화된다. 외국에서나 일어나는 일인 줄 알았던 메뚜기 떼의 등장이 우리나라에서도 관찰돼 많은 사람들이 놀랐을 것이다. 부디 내년에는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