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결"(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는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일임은 분명합니다. 설사 내가 연구하는 동안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도 됩니다. 누군가 그 연구를 이어서 성과를 낸다면 그것 또한 나의 성공이 아닐까요?마지막으로 과학자를 꿈꾼다면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도전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저 또한 지금까지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인도에서 널리 재배되는 해충 저항성 면화나 우간다 바나나 농가를 덮친 해충 문제를 해결한 해충 저항성 바나나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는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이 고구마 속 IbOr이라는 유전자가 카로티노이드 축적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강력한 무기를 왜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았는지에 관한 문제가 남는다. 이 외에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이른바 ‘떡밥’이 여럿 남아 있다. 뭔가 있는 듯하다가 다시 아무것도 없다는 식으로 바뀐 레이의 출생에 관한 비밀, 이제는 큰 의미가 없어진 스노크의 정체, 루크가 아나킨에게서 물려받았다가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아님 상대편 말을 잡을 것이냐겠지. 굉장히 고민이 되는 상황이야. 이 고민을 말끔히 해결해줄 연구 결과가 있어. 김범준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같은 실험을 무작위적으로 여러 번 반복해 실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몬테카를로 알고리듬’으로 답을 찾았어. 김 교수는 윷판의 갈림길을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분들은 수식을 많이 부담스러워 하는데, 저는 수식을 이해하거나 새로 만들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익숙하다는 강점이 있는 것 같아요.생명과학이나 화학 지식이 없다고 걱정하지는 않아도 돼요. 어차피 수학 전공자가 화학이나 생명과학 전공자의 일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에요. 의사소통에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달리 외부 생식기가 없어 성별 확인이 쉽지 않다. 대신 교미와 산란, 배설을 모두 해결하는 총배설강이라는 기관을 갖고 있다. 특히 펭귄은 꿩이나 닭과 달리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에 큰 차이가 없어 구분이 잘 안 된다. 물론 성별을 구별하는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몸의 크기를 측정해 암컷과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밀 등의 식물성 성분을 넣어 만들었습니다. 민 대표는 “국내 곡물 재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콩을 제외한 곡물에서 단백질을 추출해 식물 고기를 만들었다”며 “앞으로 소고기의 맛과 식감에 더욱 비슷해지도록 대체육류 기술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 맛 없어도 대체육류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리우 교수팀은 두 가지 기법을 적용한 프라임 에디팅 기술로 이런 문제들을 모두 해결했다. 일단 DNA의 시퀀스를 자를 때 사용하는 절단 효소인 캐스9를 변형해 DNA의 이중나선을 모두 자르는 대신 한 가닥만 잘리게 했다. 또 캐스9는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tase)’와 복합체로 만들었다. 두 ... ...
- [수학뉴스] 12세 소년의 발견! 간단한 7의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간단한 7의 배수 판정법을 발견했습니다.치카는 학교 수학 선생님에게 받은 ‘문제 해결을 위한 첫 번째 단계’라는 책에서 배수 판정법에 대한 내용을 보고, 유독 7의 배수 판정법만 복잡하다는 점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이후 방학 동안 더 쉬운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고, 결국 기존에 알려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장 최신 현대 수학 기법을 이용해 무려 350년 동안 풀리지 않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해결했습니다. 이런 지식의 습득은 혼자서 논문을 읽고 공부해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수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얻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어떤 식으로든 교류하려고 하는데요, 주로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