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해카톤은 ‘해킹’과 ‘마라톤’의 합성어로, 마라톤을 하듯 정해진 시간 동안 열심히 해킹을 하는 소프트웨어(SW) 개발 대회를 말한다. 해킹이라고하면 남의 정보를 훔쳐가거나 시스템을 공격하는 사이버 범죄를 떠올리기 쉽지만,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해킹은 난이도 높은 프로그래밍을 뜻한다.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작고 왜소한 다윗이 덩치 큰 골리앗을 쓰러뜨렸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비결은 지혜로움과 민첩함이었죠. 기존의 비행기가 골리앗이라면, 드론은 다윗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몸집은 손바닥 위에 올릴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지능이 뛰어난 드론은 웬만한 비행기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임무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UNIST 자연과학부 스티브 그래닉 특훈교수는 매년 10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산하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의 단장이다. 올해 4월 말에는 미국 국립과학원(NAS) 회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세계 최고 권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2 가난한 농부의 맏아들. 한평생 나를 옭아맨 운명이었다. 내가 태어나기 직전 나폴레옹이 유배지에서 죽었다고 한다. 왕당파 귀족들과 성직자들은 혁명기에 빼앗겼던 특권을 되찾았다. 그런 시절이었다. 농촌이든 도시든 평민은 모두 찢어지게 가난하고 비참했다. 난 어릴 때부터 호기심이 많았다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9월 5일 오후 6시, 제주행 비행기. 착륙을 5분쯤 앞뒀을까. 해안을 따라 늘어선 수십 개의 하얀 막대들이 보였다. 연구를 위해, 혹은 실제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날개를 돌리고 있는 풍력발전기들이었다. 과연 ‘바람의 섬’ 제주다웠다. 이런 느낌은 비행기에서 내려서도 이어졌다. ‘풍차마을’이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돋움, 바탕, 굴림, 궁서부터 안상수체까지. 문서 파일을 열어보면 폰트의 종류가 많다.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제각기 모양이 다르다. 이렇게 다양한 폰트를 만드는 원리를 알면 내 글씨로도 폰트를 만들 수 있을까?손글씨에서는 그 사람의 성격이나 특유의 성향이 드러난다. 반면,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모든 인류는 약 15만 년 전에 아프리카의 한 여성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로부터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분석한 결과다.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인류는 10만 년 전에 중동에, 7만 년 전에 서아시아에 진출했다. 6만 년 전에는 오세아니아, 4만 년 전에는 유럽에도 현생인류가 살게 됐다. 이동 시기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예루살렘은 고대 이스라엘의 다윗 왕이 기원전 10세기에 수도로 정한 이래, 수천 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역사 도시다. ‘준비된 평화’라는 뜻의 이름과 달리 알렉산더제국, 로마제국, 오스만제국 등 주인이 수없이 바뀌며 지금까지 분쟁의 역사 한가운데 놓여 있다. 또한 기독교, 유대교, 이슬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는 화성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헤르메스나 지구와 교신할 방법도 없다. 모두들 내가 죽은 줄 알고 있다. 내가 있는 이 거주용 막사는 31일간의 탐사 활동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산소 발생기가 고장 나면 질식사할 것이다. 물 환원기가 고장 나면 갈증으로 죽을 것이다.이 막사가 파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프랑스에 파브르 곤충기가 있다면, 한국에는 정부희 곤충기가 있다.’ 정부희 고려대 한국곤충연구소 박사가 버릇처럼 하는 이야기다. 그녀는 2010년 ‘곤충의 밥상’을 시작으로 매년 곤충기를 펴내고 있다. 현재 5권까지 나왔다. 파브르가 곤충기를 집필한 것보다 두 배는 빠른 속도다. 심지어 수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