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록되는 데이터를 보고 헤드폰과 채팅방을 통해 의견을 나눴다. 파일럿에게 이 정보를 전달해 고도를 조절하기도 했다.채팅방에는 지상 관측소 등 다른 곳에 있는 연구진들도 접속해 있었다. 항공, 위성, 지상 관측소에서 각각 얻은 동시간대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기도 했다.KORUS-AQ의 미국 측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경우에도 뼈는 손상된다. 뼈에 직접 닿는 물체의 속도가 총알보다 느리고 뼈에 전달되는 순간 에너지의 양 또한 적기 때문에 이런 충격을 저속 충격이라고 한다. 우리 주위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사건 사고가 이 범주에 포함된다.저속 충격이 가해지면 뼈는 어느 정도까지 휘면서 충격에 맞서다가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금도 계속 해킹 프로그램이 깔려있는 노트북의 IP로 접속해 가로챈 데이터를 전달해주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IP는 컴퓨터의 주소이며, IP를 알면 두 단말기(PC와 스마트폰)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스파이앱이 계속 접속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해커가 컴퓨터를 켜기만 하면 두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예 없으며, 잉어나 송어 같은 경골어류도 5%에 불과해 고통을 지각하기 위한 신호전달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학술지‘어류와 어업’ 2012년 12월 20일자에서 주장했다(DOI: 10.1111/faf.12010).연구팀은 논문에서 어류가 나타내는 반응은 사람처럼 고통을 느끼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원 어떤 소프트웨어인가.경훈 ‘길’은 생물학에서 ‘패스웨이(pathway)’라고 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의미한다. 동일한 입력 값과 출력 값을 갖더라도 거기엔 여러 가지 경로가 있다. 지하철 노선처럼. 길은 ATP가 가장 많이 나오는 경로, 깁스에너지가 낮은 경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점수를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병원에 대해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며 “지난해 보건복지부에 의견을 전달한 상태”라고 말했다.안타깝게도 아직 실질적인 정책이 마련되고 있지는 않다. 박영호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주무관은 “현재 병원의 학대피해아동보호팀이 활성화되고 있지 않다는 상황은 인지하고 ... ...
- [INFO] 새 책_배경으로 숨어버린 것들에 대한 애정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일맥상통한다. ‘기발한 과학책’은 단순한 일러스트를 이용해 빠르게 과학 내용을 전달하는 인기유튜브 채널(Asap SCIENCE)의 내용을 옮겼다. ‘추위와 감기,진짜 상관이 있을까?’, ‘인체의 자연 발화, 진짜일까?’, ‘털을 깎으면 더 굵고 뻣뻣한 털이 난다는 게 사실일까?’ 등 일상생활에서 가질 수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들려면 빛을 받아들인 뒤, 빛이 가진 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 신호를 시신경에 전달하는 장치가 필요해요. 여기에 전원공급 장치도 있어야 하지요. 그런데 많은 장치를 눈에 넣을 정도로 작게 만드는 건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인공망막의 여러 장치를 신체 내부와 외부로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컴퓨터로 보내 손동작을 일으키는 전기신호로 변환한 뒤, 팔에 붙은 패치를 통해 신경에 전달했다.실험결과 환자는 손과 손목,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물건을 잡거나 들었고, 전자기타를 치기도 했다. 보턴 연구원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사고를 당한 뒤에도 뇌가 ... ...
- [News & Issue] 헐크가 된 야구선수들, 지난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같다. 공을 쥔 팔을 최대한 뒤로 뺐다가 앞으로 세게 뿌리며 가능한 가장 큰 힘을 공에 전달하는데, 이때 근육은 빠르게 수축해 팔의 회전속도를 초당 20회까지 높인다. 이를 통해 공을 뿌리는 힘은 몸무게의 2배로, 일반인의 어깨라면 견뎌내기 어렵다. 때문에 어깨관절의 유연성과 더불어 어깨가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