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동"(으)로 총 2,39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선뜻 따라온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꾀변대규 사장은 1989년 창업한 벤처 1세대다. 공정자동화기기를 목표로 했다가 우연히 노래방 자막 처리기 개발에 뛰어들면서 CD가요반주기와 디지털 셋톱박스를 개발했다. 휴맥스는 현재 이 분야 디지털 셋톱박스 소매시장에서 4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로 세계 ... ...
-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사용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환경에 의해 일정시간 내에만 작동되고 자동적으로 기록이 지워지게 된다.무엇보다도 유기물질은 DVD 이후의 새로운 광기록매체을 만드는데 중요하게 쓰일 전망이다. 현재의 DVD와 같은 광기록 방식은 레이저빔의 파장을 줄여서 좀더 빽빽하게 정보를 ...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바꾸는데 앞장서기도 했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별다른 사유가 없는 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승진이 가능했지만,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외국사람으로부터 승진 평가를 받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다른 교수들도 흔쾌히 동의했다.오 교수는 혼자서 잘 하는 것보다 교수, 대학, 과학자 등 ... ...
- 러시아 유인 달 선회 비행 L-1 계획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없었다. 옛소련은 지나치게 자동항법장비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우주비행사들조차 이런 자동항법비행이 조종사에 의한 수동비행보다 10배나 더 어려운 기술이라고 회고했다. 결국 옛소련 상부는 미국의 움직임을 알고도 존드7호의 유인비행을 승인할 수 없었다. 결국 미국의 아폴로8호만이 달을 ...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실시됐다. 현재 일본의 경우 공항활주로에 30m 간격으로 열 발생기를 장치해 안개 발생시 자동으로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안개를 소산시키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레이저로 안개입자 분해열 방식은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안개의 여러 유형에 가장 효과적인 제거 방법이다. 하지만 자욱한 안개를 모두 ...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최고의 로봇인 ‘마이크로 아담과 이브’ 역시 같은 맥락에 있습니다. 독일 프라운호퍼 자동지능시스템연구소가 출품한 이 둥근 로봇은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자신의 구조나 형태를 인식하는 시뮬레이션 로봇입니다. 그래서 금단의 사과를 먹고 난 뒤 벌거벗은 자신들의 몸에 대해 알게 된 아담과 ...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필자를 포함한 많은 연구자들이 난자동결보존의 효율을 높이고자 새로운 과학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 예가 택솔이다.택솔은 난자 내 염색체 분열기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데, 동결방지액과 함께 난자 세포질로 들어간 택솔은 ...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처음이라고 한다.4월 5일 변 교수는 냉혈과 온혈을 포함한 얼음골 20군데에 3시간마다 자동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온도계를 설치했다. 그리고 6월 6일 7개의 온도계를 회수했다. 나머지 온도계는 돌이 무너져 내려 땅 속에 깊이 파묻히거나 사람들이 가져가버렸기 때문이다. 7개 지점에 대한 ... ...
- 5 인파에 섞인 범인 잡는 지능형 재난방지기술과학동아 l2003년 07호
- 검출하고 추적하는 지능형 비디오 감시 및 모니터링 기술, 움직이는 대상의 동작 패턴을 자동분석해 비정상 행동을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검출해 사전에 탐지하는 기술이 있다.더 나아가 야간이나 화재 발생 시에도 적외선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영상센서기술, 유무선 센서를 통해 입력된 ...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과학동아 l2003년 07호
- 현상은 해들리 순환(Hadley regime)의 대류형 수송과 다르며, 이것을 로스비순환이라고 한다 자동차의 배기가스로 인해 여름철이나 햇빛이 강한 날에 발생하는 스모그 대기오염의 하나로 194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확인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