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위성"(으)로 총 1,406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있다. 1970년대의 코페르니쿠스 인공위성과 1980년대의 lUE(International Ultraviolet Explorer)인공위성을 이용한 자외선관측과 1980년대 이후의 VLA를 이용한 전파관측은 젊은 별들이 초속 1천5백km가 넘는 빠른 속도의 '항성풍'이라고 불리는 바람을 내뿜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항성풍은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오존량을 측정하려면 과학로켓에 의존할 수밖에 있다. 특히 로켓에 의한 측정방법은 인공위성 측정치(오존량의 전체값만 측정 가능)와는 다르게 구간별로 오존이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알 수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로켓 개발이 오존 측정만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과학동아 l1992년 07호
- 항공용으로는 보잉747기의 동체, 로켓의 노즐, 우주왕복선의 머리부분과 날개의 앞부분, 인공위성의 구조물 및 파라볼라안테나, 우주정거장의 구조물 등 탄소섬유가 없을 경우에는 실현불가능한 것들이 매우 많다.인류가 처음으로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문명발달이 이루어진 것과 같이 숯이 ...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으로 직접 달려가는 것이다. 그리고 무인인공위성이나 우주왕복선을 원격조정하는 경우, 예기치 못한 고장 등 돌발사태에 대처하기란 거의 불가능 하다.그런데 이와 같은 원거리 기술의 한계로 보였던 현장감 부족과 상황대처의 제약이 텔레이그시스턴스 ...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과학동아 l1992년 06호
- (그림8)과 같게 된다.다음 호에서는 중력 가속도의 응용인 지구 질량 측정, 케플러 법칙, 인공위성궤도 등에 관해 알아 보기로 한다. 익힘문제① 어떤 물체가 초속도 2cm/초, 반대 방향의 가속도 4cm/초²으로 운동을 시작하였다. 물체의 3초 후 속도와 물체의 5초 후 위치를 구하라.② 지구 표면에서 ... ...
- 스타시티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아주 미미한 증력을 이용한 각종 실험과 천체관측을 행하는 곳. 때에 따라서는 고장난 인공위성을 수리하거나 보수하기도 한다. 또 달과 행성탐사를 위해 발사되는 여러 탐사선의 중간기지(연료 보급 등) 역할도 한다. 소련이 설치한 우주정거장 미르(러시아 말로 평화라는 뜻)는 본격적인 ... ...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전역에 전문 네트워크를 가설, 도난방지용 마이크로 칩이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인공위성에서 마이크로 칩의 신호를 수신한다는 계획도 수립해놓고 있으나 이 경우 위치판정의 정확성이 떨어져 큰 호응을 얻지는 못하고 있다. 볼백사는 앞으로 매년 2백만~3백만개의 도난방지용 마이크로 ... ...
- 파라볼라 안테나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위성방송을 동시에 받아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1995년 봄에 띄워 올려질 무궁화호 인공위성을 통해 우리도 국산 위성방송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여기저기 아파트의 베란다창에 매달려 있는 파라볼라 안테나가 이제는 그리 낯설거나 어색해 보이지 않는다. 눈에 띄는 빈도가 점점 더 ... ...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과학동아 l1992년 05호
- 최소화하는 디자인과 제트엔진과 로켓엔진을 결합한 복잡엔진, 인공위성에서 모든 항공기를 종합통제하는 위성항법장치의 개발이 현 항공기술의 단기과제다.항공기 기술을 얘기하기에 앞서 이들이 모여서 탄생되는 항공기와 이를 가능케 하는 항공산업에 대해 먼저 그 의의를 살펴보는 것이 좋을 ... ...
- 멀리있는 실상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보지 못하는데 전파망원경으로는 가능하다. 지난 1983년 새로 제작된 적외선 탐사용 인공위성은 약50만개의 적외선 분출지를 찾아냈다. 약 1년전엔 로샛위성의 X선 망원경이 하늘의 90%를 넘는 영역에서 수천개의 X선 출처를 찾아냈다. 이 자료는 그 X선 출처들이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물체인지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