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지어 시민과 관광객에게 동식물을 보여 주고, 새로운 생물자원을 찾아 수집해 유전자와 생체물질 같은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한국-코스타리카 생물소재연구센터는 인비오와 함께 코스타리카에 있는 식물을 공동으로 채집하고 있다. 지금까지 센터에서 수집한 식물은 1450종이 넘는다.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DNA는 더이상 생체 내에서 원래 주어진 역할에 만족하지 않는다.네오 DNA 시대를 이끄는 과학자들은 DNA를 세포 밖으로 꺼내 전혀 새로운 용도로 활용한다.첫 번째는 차세대 컴퓨터 ... 알던 DNA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 ...
- 인간과 닮은 돼지 게놈지도 완성!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3호
- 돼지 유전자의 서열을 분석한 게놈지도가 오랜 연구 끝에 완성됐어요.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박찬규 교수팀을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미국산돼지인 듀록 암컷 한 마리가 가진 염색체 19개에서 염기쌍 총 28억개 를 해독했어요. 돼지의 게놈지도를 완성했다는 얘기는 앞으로 장기가 훼손된 ... ...
- 쌍봉낙타, 사막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3호
- 과학자들은 8살짜리 수컷 쌍봉낙타 ‘나란’의 게놈을 분석했는데 우리가 가진 유전자는 모두 2만 821개였대요. 이 중에서 상당수가 사막에서 살아남는 역할과 관계가 있었답니다. 주로 염분에 대한 내성과 면역력에 대한 것이었어요. 우리가 살고 있는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북서부의 사막은 ... ...
- 닥터 그랜마 지구정복자노벨상을 노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개념을 처음으로 세웠지. 일본 과학자인 야마나카 신야는 2006년 생쥐의 피부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삽입해 ‘역분화줄기세포’를 처음으로 만들었단다. 역분화줄기세포는 성숙한 세포를 미성숙한 세포로 되돌린 것이야. 이론상 심장이나 간, 피부 등 어떠한 세포로도 자랄 수 있단다. 저걸 가진다면 ... ...
- 갯벌 지킴이, 넓적부리도요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한 일을 하고 있어요. 시화호 같은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한 철새 서식지를 관리하고, 유전자 보존을 위해 인공부화를 시도하며, 철새 도래지에 사는 원주민들도 설득하고 있답니다. 그래서 인천 송도 갯벌타워에 있는 EAAFP 사무국 칠판에는 언제 나 해외출장 일정이 가득해요.어린이 환경외교관이 ... ...
- 세계 첫 유전자 백과사전, 한국인이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 인체에 대한 공부를 시작한 닥터그랜마예요. 사람에 대해 잘 알면 지구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앗! 그런데 세계 에서 처음으로 ... 있을 거예요. 닥터그랜마도 지구정복보다 모두가 건강하게 오래살 수 있는 세상을 위해 유전자 연구를 해 보는 게 어때요 ... ...
- 8년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 응답하라 2020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학생들도 개인 유전자 정보에 맞춰 조금씩 다른 방법으로 공부와 운동을 하고 있답니다. 유전자 정보 덕분에 맞춤의학도 가능해졌답니다. 2012년에는 감기에 걸렸을 때 대부분 같은 약을 먹었어요. 하지만 2020년에는 같은 감기라도 개인마다 몸의 특성이 다르므로 다른 약을 먹는답니다. 저한테 ... ...
- 돼지 심장을 가진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유전적으로도 사람과 많이 비슷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이식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없앤 돼지의 장기를 이식하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윤 교수팀이 이번에 사용한 돼지는 2009년 우리나라에서 만든 장기이식용 복제 미니돼지인 ‘지노’의 자식이었어요.나도 다른 동물의 장기로 바꿀 수 ... ...
- 어메이징 모기맨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몸 안에서 죽는다. 존스홉킨스대학교 말라리아연구소에서는 최근 얼룩날개모기의 특정 유전자가 말라리아 제거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복잡한 과정을 상세히 밝혀냈다.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를 연구해 오히려 백신 개발에 한 발 다가선 셈이다. 세계적으로 2억 2천만 명이 넘는 말라리아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