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열"(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근본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피셔는 이 정리가 생명 과학에서 최상의 위치를 차지하며 열역학 제2법칙에 비견할 만하다고 주장했다.피셔의 극성 팬을 자처했던 해밀턴은 이 근본정리가 유독 사회적 행동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타까워했다. 달리 말하면, 해밀턴이 스스로 부여한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설계했죠.” 자동차 엔진의 공랭식 냉각기나 컴퓨터 속 방열판처럼 표면적을 넓혀 발열 기능을 좋게 만든 것이다. 기술에 대한 모든 것을 꿰뚫어야겠다는 기자의 말에, 정 교수는 “기술이 반영되지 않으면 산업디자인이라고 볼 수 없다”고 일갈했다.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게 산업디자인의 최종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년에 발견한 에리스(원래 이름은 2003 UB313)는 당시 행성으로 인정받고 있던 명왕성에 이어 열 번째 행성이 될 뻔했다. 그러나 에리스는 명왕성보다도 더 길쭉한 타원궤도를 그리며 태양 주위를 돌았고, 그만한 크기의 천체가 잇따라 발견됐다. 결국 에리스는 명왕성과 함께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 ...
- [과학뉴스] ‘제2의 피부’로 눈가 주름 걱정 끝?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μm는10-6m) 두께의 얇은 막을 완성시켰다. 이 인공피부는 실제 피부처럼 산소와 열을 투과시키며 아래쪽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했다. 특히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기능이 뛰어나 막을 바르지 않았을 때보다 피부의 수분이 23%가량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노화로 생긴 눈 밑 지방을 24시간 동안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실험을 여러 번 반복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턱수염도마뱀은 여닫이문을 능숙하게 열 수 있게 됐다.문 여는 파충류 정도로는 재미없다고? 이 다음부터가 진짜 재미있는 부분이다. 키스 박사팀은 여기서 멈춘게 아니었다. 도마뱀이 능숙하게 여닫이문을 여는 영상을 촬영한 뒤 이 영상을 네 마리의 ...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동굴 벽화가 침철석 안료로 그린 대표적인 벽화다. 특히 지표면 가까운 곳의 지하수나 열수 용액에 의해, 황철석이나 갈철석 등의 2가 철 이온(Fe2+)이 3가 철 이온(Fe3+)으로 치환되는 과정에서 생성되기도 한다. 이때 겉모양은 황철석이지만 실제 내용물은 침철석으로 바뀌는데, 이런 현상을 ‘가상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SW활용 경진대회는 매년 열린다. 작년까지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했는데, 3월에 열린 올해 대회부터 고등학생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조 센터장은 “경진대회 전에 따로 교육을 하지 않았는데도 학생들이 매뉴얼을 보고 에디슨을 활용하는 법을 파악했다”며 “그만큼 이 플랫폼이 다루기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말을 아끼고 있다. 플래닛 나인이 정말 아홉 번째 행성이 맞을지, 또 그보다 먼 곳에 열 번째 행성이 있을지 궁금해진다. 5년 뒤를 기다려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제시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 UC 샌타바버라 필립 루빈 교수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나사 첨단혁신연구프로그램(NIAC)’에서 ‘광자추진체’를 제안했다. 우주범선은 태양과 멀어지면 힘을 거의 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를 지상에서 쏘는 레이저로 보완하겠다는 아이디어다. 루빈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문입니다. 학부 과정에서는 화학과 생물학을 중점적으로 배우지만 자연대와는 달리 열, 물질 전달, 반응공학 등 공학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다릅니다.김현수: 전공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황석연: 이건 제 경험과 연관 지어 말할 수 있겠네요. 제가 학부에 진학할 때 한창 IT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