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전"(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물을 끌어올리려고 갑판으로 몰려가는 어부의 심정이 이와 같을까. 비장한 표정으로 안전모와 보안경을 착용한 여러 명의 연구자들이 길이 9m의 긴 실린더를 어깨에 메고 와 테이블에 올려놓았다.코어 시추는 시추 파이프를 이용해 원통형 암석샘플을 획득하는 기술로 시추선의 기본이다. 암석의 ... ...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관한 프로젝트도 진행했다. 5교시 1학년 2반에서는 네 명이 한 조를 맺어 ‘우리 생활과 안전’을 주제로 만든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지진이 났을 때 대처하는 방법이나 자연 재해에 관한 지식을 OX퀴즈 또는 장애물 피하기 게임 등으로 만들어 발표했다.SW 개발자가 되고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덕분 이다.홈 IoT 기기와 서비스도 늘고 있다. 디지털 도어록이나 창문 열림 감지기, 가스 안전기, 전기 플러그, 조명기기 및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이 인터넷에 연결됐다. 그 덕분에 우리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다. 실외에서 동작하는 원격 위치 추적기 및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00만 명 이상이 모인 집회인 만큼 차벽을 적절히 설치하고 유도등과 같은 안전대비 장치를 하면 초기 대피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 ...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주어진 미션을 해결하는 대회지요. 보통 17가지의 장애물이 설치된 1.2km 코스를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통과해야 한답니다.코스에는 실제 달 표면에 있을 법한 크레이터, 급경사, 돌무더기 지역이 그대로 재현돼 있어요. 참가팀들은 이 장애물들을 넘을 로버를 만들고, 조립한 후 운전을 하는 것까지 ... ...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센서와 안테나, 카메라 등이 달려 있어요. 따라서 이런 기기들이 망가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 무척 중요하답니다.1.1km 남기고 연락 두절!엑소마스 2016은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난 3월 14일(*UTC 기준),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됐어요. 그리고 7개월 동안 ... ...
- Part 3. 엑소마스 2020, 성공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완전히 감싸요. 그리고 표면에 도착했을 때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요. 그럼 탐사선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답니다. 또다른 방법은 ‘스카이 크레인’이에요. 2012년 큐리오시티가 착륙에 성공한 방법으로, 미국항공 우주국의 과학자들이 고안했지요. 역추진 엔진이 달린 우주선에서 나온 단단한 ... ...
- Part 3. 혈관 속을 누비는 로봇 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마이크로 로봇을 실제로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 정밀하게 로봇을 움직이는 기술과 안전성에 대한 실험이 더 필요하다고 해요.더 빠르게 움직여라!최근에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마이크로 로봇도 개발되었어요. 아래 사진 속 로봇은 크기가 220*㎛(마이크로미터)인 *섬모 마이크로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낮추는 역할을 한다.착륙이 어려운 이유는 대기가 없기 때문착륙선을 화성 표면에 안전하게 착륙려면 매우 정교한 기술이 필요해요. 무엇보다 화성 착륙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화성 대기의 밀도가 작기 때문이에요. 화성 대기는 지구 대기 밀도의 100분의 1정도에 불과하거든요.대기 중에 공기가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수가 많을수록 안전하다!생체 인식 기술이 기존에 사용하던 비밀번호나 패턴 암호보다 안전한 이유는 생체 정보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암호의 수가 훨씬 많기 때문이에요. 암호의 수가 많다는 건 그만큼 다른 사람이 열기 어렵다는 것을 뜻해요.예를 들어 4자리 숫자로 만드는 비밀번호는 총 1만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