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베토벤도 깜짝! 음악에서 찾은 기하학의 비밀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연구팀은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음 높이를 숫자로 표시했다. 이렇게 얻은 연속된 숫자의 앞뒤 차이 값을 함수로 나타내 분석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클래식 음악은 음의 변화 폭이 크지 않았다. 대개 다음 음 근처의 높은 음이나 낮은 음으로 이동하는 식이었다. 반대로 록 음악은 그 변화가 심했다 ... ...
- 수학탐정 M 마술열차 살인 사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카드 알아맞히기의 트릭은 상대방이 고른 카드를 3행에 위치하도록 만드는 것! 그렇다면 숫자 3과 무슨 관련이 있는 건 아닐까? 조 형사, 재빨리 3호차로 가 보지. 앗! 또다른 시체다!카드 마술의 핵심은 불변량!마술열차 안에서만 벌써 두 사람이 죽었지만, 범인의 행방은 전혀 알 수가 없다. 돈 ... ...
- ADHD, 일찍 치료할수록 수학 공부에 도움 된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행동을 보이는 질병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앓는 어린이와 청소년 숫자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늘어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ADHD 진단을 받은 환자가 18.4%나 증가했다. 하지만 치료약이 일으킬 수 있는 수면 장애나 식욕 감퇴와 같은 부작용 ... ...
- 수학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하나 더 추가해 총 3개의 변수로 글씨체를 만든 것이다. 그 결과 글씨체를 나타내는 숫자도 두 자리 수에서 세 자리 수로 늘어났다. 기울기를 나타내는 일의 자리는 기울기가 있으면 1, 없으면 0으로 표시했다. 이렇게 세분화된 유니버스 글씨체는 총 59개의 구성원을 갖는 대형 가족이 됐다.*가독성 ...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일도 일어나지 않나봐. 그렇다면…?”“피타피타!”폴이 이정표 화면에 떠 있는 몇 개의 숫자와 사칙연산 기호를 가만히 들여다보더니 말했다.“우리가 직접 주민 코드를 구해 보자!”문제 ❹ 망가진 탬버린 수식을 원상복귀 시켜라!주민 코드를 입력하고 이정표를 따라 학교 앞까지 찾아 온 폴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생활 속에서는 데칼코마니처럼 형태가 좌우로 같은 대칭이 있다. -1, 0, +1, … 이렇게 숫자도 대칭이 가능하다. 팽이처럼 회전시켜도 성질이 변하지 않으면 회전에 대해 대칭이다.물리학에는 이보다 고차원적이고 심오한 대칭이 많이 있다. 초대칭은 그 중 하나다. 스핀 이 1/2만큼 다른 입자가 짝으로 ... ...
- 이탈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마당발 수, 17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자국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좌절을 겪은 이탈리아인들에게 17은 더욱 부정적인 이미지 의 숫자가 됐고, 이후로도 이탈리아 축구에서 등번호 17은 기피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제2코스 쌍둥이와 페르마의 소수, 1717은 7번째 소수이자, 19와 함께 네 번째 쌍둥이 소수다. 또한 페르마 소수이기도 하다. ...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많다고 느꼈다. 단 두 개의 손가락이 더 있을 뿐인데 말이다. 숫자를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 백분율로 표현하면 100%의 손가락이 아니라 140%의 손가락이다. 40% 차이지만, 오랜 역사 동안 사람들은 이를 구분해왔다. ‘비정상’이라고. 그래서 무표정해 보이는 샤갈 그림속 주인공의 ...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상황에서의 상태 변화를 보자. 동그라미 안의 왼쪽 숫자는 주자 상황을 뜻하고, 오른쪽 숫자는 아웃 카운트이다. 홈런이 나오면 득점이 2점 나오며, 1아웃 주자가 없는 상태로 변한다. 여기서 3루타가 나오면 득점이 1점 나오고, 상태는 그대로 이어진다. 만일 2아웃일 때 아웃이 나오면 3아웃이 돼 ... ...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모아 엄지와 맞댄다. 주목할 건, 다른 문명의 사람들이 만나면 수신호가 같아도 가리키는 숫자가 전혀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마사이족의 4와 중국인의 10이 매우 닮은 걸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사이족은 8을 나타낼 때 손가락을 모두 펴고 살랑살랑 흔든다. 이걸 중국인이 보면 자칫 5로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