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백인 부모의 자식과 흑인 부모의 자식이 바뀌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오래전 우리나라
병원
에서 아주 드물게 이런 ‘사고’가 일어나곤 한다. 그러나 피부색과 머리카락 색깔이 모두 비슷한 경우에 간혹 일어날 수 있지 이렇게 다른 피부 색깔을 혼돈할 의사나 간호사는 아마도 없을 것이다. 도리어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발효 환경을 만든다.보통 일반 세균은 소금농도가 10% 이상이면 성장을 멈춘다. 여러 가지
병원
균이나 부패균은 2% 농도만 넘어도 성장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6~12% 정도면 대부분의 생육이 억제된다. 김미리 충남대 교수가 한국식품영양식량학회지에 1983년 소개한 논문에 따르면 세균 이외에 효모는 1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극초기인데다가 약으로 간단히 진행을 막을 수 있다는 말에 안도했다. 처방을 받아들고
병원
을 나서던 김 씨는 알츠하이머병이 생각과 달리 어느새 그렇게 위험하지 않은 병이 됐다는 사실을 실감했다. 김길수 씨의 사례는 가상으로 꾸며 본 미래의 모습이다.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 아주 초기의 ... ...
응급구조, 인공호흡보다 흉부압박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않은 편이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전통적인 CPR을 한 경우는 아무 응급처치를 하지 않은 채
병원
에 도착한 환자의 생존률(5.2%)과 큰 차이가 없었다. 보브로우 연구원은 “2005년에는 20%에 불과하던 흉부압박 응급구조의 비율이 2009년에는 76%으로 늘어났다”며 “하지만 전체적인 생존률은 오히려 약 2.5배 ... ...
You Must Get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세계적 유행병이 되지는 않을 겁니다. 그래도 당신은 독감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병원
에 가는 게 싫은가요? 안타깝게도 이번에 세계의 보건의들은 독감주사 접종을 처음으로 강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H1N1 바이러스(신종플루) 유행병이 지난 7월 종료됐다고 공표했습니다만, 이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세균수를 확인한 뒤 전체의 오염 정도를 추정하는데 통계적 방법이 쓰인다.그리고
병원
에서 쓰는 약도 약효과 있는지, 약이 안전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는데 이 때도 통계와 확률이 쓰인다. 지진의 세기를 우리가 알기 쉽게 한 자릿수 숫자로 표현하는데 로그가 ... ...
전자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빛이 직접 눈으로 들어오는 방식이다(주위가 깜깜해도 볼 수 있다).최근 건양의대 김안과
병원
에서 실시한 실험에 따르면 아이패드로 독서할 경우 전자북단말기(인터파크의 ‘비스킷’)로 독서를 할 때보다 눈의 피로도가 훨씬 심한 걸로 나타났다. 실험 참가자 75명은 각 매체별로 기욤 뮈소의 소설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불안장애나 우울증 같은 다른 질환을 일으킬 확률이 50%나 된다. 지난 8월 가천의과학대 길
병원
정신과 이유진, 김석주 교수팀은 “국내 중고생의 10.3%가 수면시간이 4시간이 채 안 된다”며 “청소년기에 수면 시간이 부족하면 우울증과 주의력과잉결핍장애(ADHD)가 나타날 위험성이 높다”고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말로 표현하지 못했던 과거 경험이나 생각을 그림으로 그려놓고 스스럼없이 설명했다.
병원
이 아닌 사설기관도 미술 심리 상담을 하는 곳이 있다. 하지만 말 그대로 상담일 뿐, 치료는 아니다. 정신질환자가 호전된 사례가 있더라도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치료 효과가 밝혀진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영향력이 줄어들 때 도덕적 판단도 바뀔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브라질 도르
병원
의 신경과학자 조르즈 몰 박사는 복내측 전전두피질이 죄의식이나 동정심 같은 ‘친사회적 정서’가 관여하는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우리가 마음에서 우러나 자선을 할 때도 이 부분이 활성화된다.2007년 몰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