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경계부에 쌓인 판의 물질이 다시 녹아서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한편, 암석
덩어리
아래에 있는 하부 맨틀은 차갑기 때문에 하부맨틀의 대류를 유도한다는 생각이다.플룸구조론에 대한 두가지 생각 중 어느 쪽이 옳은가 하는 판단은 현재 우리의 지식으로서는 힘들다. 물론 두 종류의 ... ...
다비의 불길 속에서 태어나는 사리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몸에서 가장 흔한 무기물은 칼슘사리는 법력의 상징인가, 혹은 별 뜻없는 무기물
덩어리
에 불과한가. 사리의 정체는 무엇일까. 사실 사리에 대한 어떠한 화학분석도 이루어진 적이 없으므로 과학적인 판단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의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리를 몸에 신진대사가 잘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나눈 뒤 이를 시험관에서 길러내는 방법과 우수한 형질을 가진 난세포핵을 보통 난자
덩어리
의 핵에 끼워넣는 핵치환법이 있다.동물의 수정란 복제는 이미 실용화 단계사실 난할 단계의 수정란 복제는 기술적으로는 간단한 일이라는게 국내 학자들을 포함한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여기에는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일생중에서 별나게 탄생한 중성자별. 에너지
덩어리
인 이 신비의 별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일까일본 사무라이들은 옥쇄전투를 앞두고 머리에 향수를 뿌린다한다. 잘린 목에서 피비린내가 덜 나게 하기 위함이다. 사후의 예법까지 이렇게 차려주는 장인정신(匠人精神)은 칭찬할만하다. 196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부르는 별이 밀집된 지역과 성운이라고 부르는 기체나 먼지 등으로 구성된 성간물질
덩어리
도 있다. 그러므로 은하들은 수만 광년의 반지름을 갖고 있는 거대한 별의 집단인 것이다. 은하들 사이의 평균 거리는 수백만 광년이나 되지만 은하들도 별이 모여있는 성단과 마찬가지로 집단을 이루며 ... ...
꽃가루의 힘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암수 부분을 동시에 만들어 내는 꽃)이며 그들의 꽃가루는 폴리니아라고 불리는
덩어리
형태로 곤충에 실려서 다른 꽃의 암술 부근이나 암술머리로 옮겨진다.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닐슨과 피터슨, 그리고 마다가스카르 안타나나리바 대학의 로바코난드리안니나는 마이크로태그라고불리는 색깔이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비누 분자의 친유성 부분이 기름을 에워싸면 형성된
덩어리
의 표면이 비누의 친수성인 부분으로 이루어지므로 물과 잘 섞이게 된다. "전기분해로 분해못할 원소 없다"근대 화학자인 라부아지에는 나트륨이나 칼륨의 산화물인 알칼리를 원소로 생각했다. 그것은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즉 '놀부 블랙홀'과 '흥부 블랙홀'의 양면성을 강조한 말이다.블랙홀을 엄청난 에너지
덩어리
로 표현하는 것도 바로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 즉 맹렬하게 회전하는 블랙홀로부터 우리는 에너지를 꺼내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이론천문학계에 커다란 반향을 가져왔던 호킹의 이 업적도 발표된 지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케로젠 분자는 벤젠형의 방향족 고리가 케로젠을 여러 겹으로 둘러싸서 만들어진
덩어리
다(그림 3). 이것이 석유의 조상인 기원물질이라는 학설이다. 지구상에 약 1.3×${10}^{12}$t이 존재하는 케로젠은 유기탄소의 가장 풍부한 형태로 알려지고 있다.기원물질이 얕은 퇴적층에 묻히면 박테리아가 작용,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않는가?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뇌라는 두 근이 조금 넘는 무게의 물렁물렁한 회백색
덩어리
에서 마음이 생겨나는 것일까? 사람에는 수많은 종류의 세포들이 있는데, 이들은 발생학적으로 하나의 세포가 분할 증식하여 생겨난 것으로 유전자의 지시를 받아 고유의 특성을 발휘하도록 분화되었으며, 이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