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상"(으)로 총 5,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몰랐던 아주 오래 전 과거 사람들은 신이 노여워하는 것이라 생각해 번개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번개가 왜 치는지 알게 된 뒤 인류는 번개를 하나의 기상 현상으로, 나아가 어마어마한 전기 에너지로 인식하게 됐다.과학자들은 번개가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연구를 하고 ...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880년 벤은 집합을 원으로 표시해 어떤 대상이 포함돼 있는지, 여러 집합이 공통으로 가진 대상은 무엇인지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했어요. 예를 들어 집합 {1, 2}와 {2, 3, 4}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그리면 공통인 2는 겹치는 부분에 쓰고, 다른 수는 원의 겹치지 않는 부분에 쓰면 돼요. 만약 공통인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피해자들에게 요구한 금액은 300달러(약 33만 원) 정도다. 기업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랜섬웨어의 경우 30만~70만 원 정도의 금액을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런 대규모 공격에 30만 원은 너무 적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런 이유로 워너크라이의 목적에 대해 ‘해커들이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중편부문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 014년과 2016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대상, 2 015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여러 지면에 SF 단편을 실었으며, ‘뉴로맨서’, ‘블라인드 사이트’, ‘이중도시’ 등의 외서를 번역했다.노마는 휘파람을 불면서 한 구석에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일반 대학교 수학과에서 배우는 수학이랑 기본적으로 같습니다. 다만 적용하는 대상이 다를 뿐이지요. 예를 들어 정수론과 암호학을 이용해 군에서 사용하는 암호를 생성하고 해독하는 수학적 이론을 배우고,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전투 모델링을 하는 방법을 배우지요. 그런데 육군사관학교에서만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생한 지식과 체험, 감상을 버무린 여행기를 책으로 엮어내기도 한다.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해외캠프도 이런 흐름에 영향을 받아 체험과 학습, 그리고 진로탐색을 강조하는 추세다. 하지만 대부분 콘텐츠에 한계가 있다. 박자세처럼 전문가가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도 아니고, 현지 전문가가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두 가지 큰 문제가 있었다. 면역체계가 암세포만을 대상으로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신 부작용이 너무 심했다. 임상시험 중에 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었다. 무엇보다 이런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암종도 전체의 10%에 불과했다. T세포 기능 높여… ...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유행하기도 했다.수학자도 인정한 롤링 큐브 미로논리 미로 중에는 수학자의 연구 대상이 된 것도 있다. 주사위로 길을 찾는 ‘롤링 큐브 미로’다. 미로의 시작점에 주사위를 올려놓는다. 이때 6은 위쪽, 4는 앞쪽, 5는 오른쪽, 2는 왼쪽을 향하게 둔다.길을 찾는 방법은 간단하다. 주사위 위쪽의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오히려 세포증식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 동물을 대상으로 항산화제 효과를 비교한 실험에서도 그 효과가 보편적이지 못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산화적 손상설이 지금까지 기대해온 것과는 상당히 괴리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DNA 끝에 달려있는 반복서열,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여론조사는 1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때 전체 유권자를 모집단, 여론조사 대상으로 뽑힌 일부를 표본이라 부릅니다. 완벽하게 무작위적으로 표본을 뽑으면 1000명만 조사해도 꽤 믿을 만한 결과가 나와요. 국을 끓일 때 양념이 고루 배어 있다면 한 숟가락만 떠서 간을 봐도 전체 맛을 알 수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