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좌표를 읽고 항로를 새로 결정한다. 좌표는 안전한 항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영해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영해는 물이 완전히 빠지는 지역에서 12해리까지다. 이보다 엄밀해야 하는 법에서는 좌표로 기준점을 나타낸다. 우리는 보물을 찾았지만, 알고 보니 우리를 보물로 이끈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끄는 이기남 연구원(박사과정)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연구자로서 다른 나라의 연구자들과 교류하고 싶어서 대회에 참가했다”며 “특히 내가 개발한 로봇으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술을 검증하고 개선할 수 있어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강태구 교수는 “전공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처음에는 경기도 수원 근처에 있는 수인산업도로변에서 발견됐지만 곧 사라졌고, 우리나라 동쪽 끄트머리인 울릉도에서 발견됐지요.이 때문에 연구자들은 1년 내내 끊임없이 귀화식물을 찾고 조사하기 위해 연구 구역을 지정해요. 그리곤 계절마다, 그리고 해마다 식물 분포가 어떻게 바뀌는지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따지면 시각을 따라올 수 없답니다.사람에게 있어서 시각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다른 나라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중국에 ‘百聞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이라는 고사성어가 있어요.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는 뜻이에요. 서양에도 ‘Seeing is believing’, ‘A picture is worth a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오히려 일상생활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디지털 중독은 알코올 중독만큼 심각해우리나라는 스마트폰을 한 사람당 하나 꼴로 갖고 다닐 뿐 아니라 인터넷도 빠른 편이다. 또 뉴스 앱이나 SNS를 통해 소식이 퍼지는 속도가 빠르다. 그만큼 스마트폰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 ...
- [생활] 내 손 안의 자산관리사, 핀테크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등 핀테크의 분야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수상한 거래, 자동으로 차단한다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인터넷과 모바일을 활용한 실시간 전자금융거래가 가장 활발하다. 수백, 수천만 원이 단 몇 초 만에 쉽게 오갈 수 있어 그만큼 금융 사고가 생길 위험도 많다. 게다가 피싱, 해킹처럼 금융정보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 아프리카에 옹달샘과 황금연못을 선물한다조 교수는 수질개선이 필요한 여러 나라에 2006년부터 ‘옹달샘’과 ‘황금연못’을 만들어주고 있다. 옹달샘은 정수시스템을, 황금연못은 연못형태의 작은 하수처리장을 의미한다. 원리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연못 주변의 자갈로 연못 바닥에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래서 각 나라마다 기준이 되는 시각을 ‘표준시’로 정해 놓고 사용한다. 우리나라 표준시는 울릉도 동쪽 350km 지점을 지나는 동경 135°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原子時 원자시(근원 원, 아들 자, 때 시)‘원자’는 본래 물질이 고유한 성질을 갖는 가장 작은 단위로, 물질의 근원이 된다고 해서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로 정하고 두 기준사이를 100등분했다. 미국과 몇 개의 작은 나라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가 섭씨온도를 쓴다.하지만 온도에 대한 국제 표준 단위는 섭씨(℃)가 아니라 절대온도로 불리는 켈빈(K)이다. 절대온도가 나온 배경을 알아보자.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0 ℃ 이하가 중요해졌다. 가장 낮은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다섯 번째, 북반구에서는 시리우스, 아르크투르스에 이어 세 번째로 밝습니다. 특히 우리 나라가 있는 중위도 지역 바로 위를 지나기 때문에 도심의 빌딩들 사이에서도 휘황찬란하게 빛나지요.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약 1만2000년 뒤에는 지금의 북극성 자리를 차지하게 될 별이기도 합니다. “그 옆에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