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달아 띄웠다. 그런데 3월 초 바람이 강하게 불던 날, 감쪽같이 현수막이 사라져 버렸단다.
근처
에 떨어졌나 찾아보았지만 흔적도 찾을 수 없었다고.“믿을 수 업스므니다. 울산과 교토가 얼마나 먼데….”“800㎞ 정도 된다고 알고 있어요. 비행기를 타도 1시간 30분은 날아가야 하죠.”“역시 서영 ... ...
코끼리는 □를 두려워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폭포가 떨어지는 소리를 각각 녹음했다. 이어 여러 무리의 코끼리가 모여 휴식을 취하는
근처
에 숨어 녹음 소리를 들려줬다.놀랍게도 화난 벌떼의 소리를 들려주자 단 10초 만에 무리를 이룬 코끼리 284마리 가운데 8마리가 그 지역을 떠났고, 80초 뒤에는 나머지 코끼리마저 모두 도망갔다. 반면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반사망원경의 일종 반사망원경은 물체의 빛을 촛점에 모으는 반사경과 모인 빛을 눈
근처
에서 확대시키는 접안경으로 구성된다 카세그레인식은 경통 입구에 쌍곡선면 또는 타원면의 반사경을 설치하여 1백80˚ 꺾은 후 이 빛을 주포물면경의 가운데에 있는 구멍을 통해 통의 뒤쪽으로 보냄으로써 그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시사한다. 바로 빙산이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빙산
근처
에 사는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기 위해 물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바다는 이산화탄소가 줄어든 만큼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 또 크릴새우는 식물플랑크톤을 먹어치운 뒤 탄소가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뒤 춘분점의 위치를 계산했다. 아니나 다를까. 춘분점은 양자리를 벗어나 물고기자리
근처
에 있었다.그는 이 결과를 수백 년 전 스피카의 위치 자료와 비교해 춘분점이 얼마나 이동했는지 계산했고 이를 바탕으로 세차운동의 주기도 처음으로 계산했다.고대천문학을 집대성 했던 그리스의 천문학자 ... ...
벌 괴롭히는 휴대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지역에서 70%의 벌이 사라졌대요. 독일 연구팀은 이 현상을 조사한 결과 휴대전화가 벌집
근처
에 있으면 전자파 때문에 벌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혀 냈어요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중성자별에 사는 외계인 ‘칠라’가 등장한다. 칠라는 지구에서 보면 용자리 꼬리
근처
에서 관측되는 중성자별에 산다. 중성자별은 중력이 너무 강해 대기가 겨우 수mm 두께이고 산의 높이는 대략 1cm다. 칠라는 강한 중력의 세계에 적응해 납작하고 참깨씨만 하게 작지만 인간처럼 지적인 생명체다 ...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허풍쟁이로 유명한 허영감님과 공영감님. 장날만 되면 서로 만나 허풍을 치는 통에
근처
에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란다.“내 말을 좀 믿어 줘. 내가 아무리 뻥쟁이라지만 진실을 말할 때도 있는 거라구. 나도 왜 그런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우리 집 계량기는 어느 날부턴가 거꾸로 돌아간다니깐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급성 위장염형으로 크게 나눈다 봄철 북쪽 하늘의 별자리 3월경 초저녁에 머리 위
근처
에 나타나는 별자리로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J 헤벨리우스가 신설한 것이다삼각근이 섬유화되어 단축되는 병 삼각근구축증(三角筋拘縮症)이라고도 한다주로 팔의 근육주사가 원인이다삼각근은 견관절(肩關節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침엽수는 보기 힘들어지고 대신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는 대나무가 무성해졌다. 제주도
근처
와 남해안에는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산호들이 하얗게 변해 죽어 버린다. 해양 생물의 집과 먹이였던 산호가 죽으면서 바다 속은 생물이 살기 힘든 사막처럼 변한다. 범인은 누구?쳇, 아름다운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