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대칭과 주사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여러분은 보드게임을 좋아하나요? 보드게임에서 빠질 수 없는 도구 중 하나가 바로 주사위인데요. 게임을 공정하고 재미있게 해주는 주사위에 숨어있는 대칭들을 함께 찾아볼까요? 보드 ... 많아졌습니다. 주사위 속 숨어있는 대칭을 함께 생각해 보면서 게임을 즐겨보는 건 어떨까요? ... ...
- 놀이기구 대기시간은 22분이 한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기다리면 행복도가 낮아져요!실제로 놀이공원에서 방문객이 기다리는 시간을 줄이는 건 아주 중요해요. 추 리우 대만 담강대학교 경영학과 연구원은 놀이기구 대기시간과 놀이공원 방문객의 행복도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놀이기구 이용 시간이 길수록 행복도가 높았고, ... ...
- [진실 혹은 거짓] 수학으로 사건 해결! 거짓 법과 수학, 우리 친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했지.이윽고 법학자 헹크 엘페르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 교수는 이 모든 사건이 우연히 일어났을 확률이 ‘3억 4200만분의 1’이라고 계산했어. 지구 근처를 떠도는 소행성 아포피스가 100년 이내에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100만 분의 1이니 3억 분의 1인 상황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고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말했다. doi: 10.1111/gcb.15109 과거 모습 그대로인 지역 단 2.8%하지만 낙관적인 평가만 있는 건 아니다. 올해 4월 또다른 연구팀은 인간의 영향 없이 과거의 온전한 상태 그대로 남아있는 육상 지대는 지구상에 단 2.8%뿐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멕시코 시우다드대, 베네수엘라 ...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꼽히던 스코펙스는 시행을 두 달여 앞둔 4월 돌연 연기를 선언했다. 지구의 미래를 건 실험은 무슨 이유로 연기된 것일까. 지구의 기후시스템에 인위적인 조작을 가해 기후를 조절하는 연구 분야가 있다. ‘지구공학’이다. 1960년대 미국에서 처음 제안돼 60여 년 동안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돼 ... ...
- [긱블x과학동아] 게임 속 지팡이의 화려한 변신, 버블건 & 5연발 리볼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도 안 돼 용감한 쿠키가 들고 달리기에 매우 편할 것 같습니다.적을 혼란에 빠뜨리는 버블건과 적을 무자비하게 공격하는 5연발 리볼버. 용감한 쿠키가 택할 총은 단 하나. 어떤 총을 들고 다시 게임 속 세상으로 돌아갈까요. 긱블의 유튜브 채널에 5월 업로드된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 ...
- [이공계 잡터뷰] 의료기기도 데이터 시대, 데이터 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사용자의 동의하에 데이터를 수집,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모인 데이터는 3400만여 건에 달하고, 지금도 계속 쌓이고 있다. 데이터의 가치를 살리는 일데이터과학은 데이터와 관련된 모든 분야를 포함하는 말이다. 데이터를 얻고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데이터공학과 수학적으로 데이터를 ... ...
- [기획] 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무게는 이전의 15~20% 정도로 줄어든다. 태우면 재가 돼 부피와 무게가 감소한다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다. 하지만 수도권 대체매립지 공모 등 폐기물 처리를 둘러싸고 첨예한 갈등이 빚어지는 요즘, 이 수치가 갖는 의미는 크다. 폐기물의 양을 최대한 줄이고 환경오염을 막는 것. 폐기물 ... ...
-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어획량이 감소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 사실이 증명됐으므로, 오염물질 배출과 이 사건 어장에 발생한 해양생태계 악화 및 어획량 감소의 피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증명됐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도 침출수 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등 대책 ...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때문에 어떤 문제가 좋은가에 대한 기준을 굳이 정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분명한 건 많은 사람에게 흥미를 끌지 못하는 문제들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겁니다. “계산 반복 문제만 아니라면 모든 문제는 의미 있습니다” 보기엔 짧고 노력 없이 낸 문제 같아보여도 그 풀이는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