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거의 같은 비율이라는 것은 이 유전자들을 소녀의 부모로부터 각각 물려받았음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이종교배 이후 자손 번식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논문에 따르면 이 소녀의 어머니는 약 12만 년 전 서유럽에서 이주한 네안데르탈인의 ... ...
- Part 3. 9를 사랑한 음악가 콘서트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롤링수톤을 연재하고 있는 수학동아의 음악 담당 조혜인 기자입니다. 파티에 음악이 빠질 수 없겠죠? 9가 정말 특별한 게 음악가도 사랑한 수입니다. 오늘 콘서트에는 9에 ... 뿌리는 튼튼한 나무를 뜻해요. 앨범에 담고 싶은 철학과 보물섬의 이미지를 결합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거죠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여러 개가 복잡하게 얽혀 그물 모양을 나타낸 것을 먹이그물이라고 한다. 먹이사슬에서 각 영양 단계의 개체 수, 생체량, 에너지를 하위 영양 단계에서부터 상위 영양 단계로 쌓아 올린 것을 생태 피라미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상위 영양 단계로 갈수록 개체 수, 생체량, 에너지는 감소한다. 물론 ... ...
- Part 2. 도시공원은 왜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기온을 측정해 봤어요. 그다음 하루의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여름 일수를 조사했지요. 그 결과 같은 도시 내에서도 녹지 비율에 따라 여름의 길이가 최대 57일 차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여름이 가장 긴 지역은 수원시청으로, 조사 지역 중 녹지 비율이 가장 낮은 ... ...
- [오일러 프로젝트] 스도쿠 해결사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배열이다. 오일러는 행과 열의 수가 6, 10, 14와 같이 4k+2(k=1, 2, 3…) 꼴인 배열에서는 각 행과 열에 부대와 계급이 겹치지 않게 장교를 세울 수 없다고 추측했다. 1901년 프랑스 수학자 가스통 타리가 6차직교라틴방진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추측은 맞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1960년 수학자 라지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식 1600-(FIFA랭킹-1)×4에 2018 러시아 월드컵 이전 마지막 FIFA 랭킹을 넣어 일괄적으로 각 팀의 첫 엘로 평점을 매겼습니다. 따라서 FIFA 랭킹 1위였던 독일의 첫 평점은 1600-(1-1)×4=1600점, 57위였던 한국의 첫 평점은 1600-(57-1)×4=1376점으로 2018 러시아 월드컵을 시작했습니다. 이 점수를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0] 세계화와 지역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갖기 위해 노력하는 현상이기도 하다.세계화가 진행되면 지역의 특성이 사라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지역화는 세계화와 동시에 진행되며,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세계화로 지역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역화 전략의 필요성이 더욱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G유플러스 홈미디어 체험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홈IoT에게 나 잔다고 해”라고 말하자 전등이 꺼지고 커튼이 쳐졌지요. 이게 가능한 건 각 제품을 통신망으로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결했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멀리서도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는 건 손으로 누르는 전등 스위치가 아니라 통신망이 연결된 똑똑한 스위치가 있기 때문이에요. ... ...
- 우즈베키스탄에서 수학 한류를 꽃피우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그리고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수학교사, 대학생 도우미가 함께 참여해 서로 생각을 나누는 기회가 됐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수학교육에 대해 고민하며 다양한 문화권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행사에 참여한 여러 ... ...
- [오일러 프로젝트] 가장 긴 콜라츠 수열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09호
- blog.me) 해당 포스트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오일러 프로젝트 사이트에 접속해 각 문제의 답을 입력하면, 정답을 맞힌 문제에 한해서 사람들이 달아놓은 댓글에서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볼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두세요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