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2,589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08
사람이라면 두 별을 분리해 볼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물론 현재 시력검사표는 흰
바탕
에 쓰여 있는 검은 글씨를 읽는 방식이기 때문에 점광원을 분리해 보는 능력을 뜻하는 분해능의 정확한 정의에 맞지 않아 위 계산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게다가 대기의 오염상태나 날씨에 따라 볼 수 있는 ... ...
원숭이는 도박사?
과학동아
l
200707
마이클 쉘던 박사와 티안밍 양 박사는 붉은털원숭이가 게임을 하며 자신이 본 증거를
바탕
으로 승률이 높은 쪽을 추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6월 3일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붉은털원숭이 2마리에게 10가지 도형 가운데 4가지를 임의로 보여준 뒤 빨간색과 초록색 가운데 하나를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07
범인은 인간의 뇌다. 뇌는 눈을 통해 들어오는 사물의 정보가 불완전하더라도 그것을
바탕
으로 사물을 온전히 인식하려는 보정능력이 있다. 이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컵의 일부만 봤을 때 위험물이라고 소스라치게 놀라며 뒷걸음질치지는 않는다.사람들은 귀신의 몸 중에서도 주로 얼굴을 본다. ... ...
형광단백질이 만드는 빛나는 세포
과학동아
l
200707
떠오르는 모습이 나타났다.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생화학과 로저 티엔 교수가
바탕
이 검은 페트리디시(배양접시)에 특별한‘물감’을 사용해 그린 그림이다. 아쉽게도 그의 그림은 10분 정도밖에 볼 수 없다.파도와 태양의 실체는 형광을 내도록 만든 박테리아다. 형광박테리아는 해파리에서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07
있다기체상 반응법에서는 반응성 혼합기체나 고온에서 열분해하기 쉬운 기체를 촉매나
바탕
결정 등을 겸한 기판(基板) 위에 보내 반응시켜 결정화시킨다 기체상태량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온도계 측정과 보정을 정밀하게 할 수 있어 온도 정점(定點)의 켈빈온도값을 알기 위해 이용된다 압력을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06
작을수록 3D 캐릭터는 사실성을 갖게 된다3D 캐릭터를 만들 때 뼈대가 되는 부분 본을
바탕
으로 폴리곤을 위에 붙이면 정교한 근육 움직임과 표정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물질 속에 있는 전자 하나를 밖으로 끌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의 일 또는 에너지 단위는 전자볼트(eV)를 쓴다지방을 가수분해하면 ... ...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과학동아
l
200706
단 기억은 당사자에 의해 재구성되거나 왜곡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목격자 증언을
바탕
으로 상황을 판단할 때 왜곡된 정보에 쉽게 현혹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재판 당사자의 삶과 사회정의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믿지 못할 기억은 무시해야 할까. 현재 기억 연구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 ...
PART1 올여름 최악의 무더위 올까
과학동아
l
200706
초안을 놓고 고민에 빠질 때다. 예보 회의는 1, 2차를 거치는데, 예보관들의 오랜 경험을
바탕
으로 한?중?일 장기예보전문가 합동회의의 결과까지 고려해 최종 예보문을 완성한다. 지난 4월 4일부터 사흘간 중국 북경에서 열린 한?중?일 장기예보전문가 합동회의에서는 ‘2007년 여름 한국은 평년과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06
”“거 대통령, 대통령 소리 안 할 수 없소?”여전히 불만스런 물음이지만 친근함이 밑
바탕
에 깔려 있었다.“그럼 뭐라고 불러요? 마땅한 호칭이 없는데…….”“이 순간부터 나는 태은해 씨를 T라고 부르겠소. 티쳐.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그럼 나는 대통령을 무엇이라고 부른담!“어렸을 때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06
하지만 미국 스탠퍼드대 대기물리학자 움란 이난 교수팀이 고속카메라의 영상을
바탕
으로 스프라이트가 실제로는 아래로 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사실 스프라이트는 눈 깜박할 사이(250ms)보다 더 짧은 시간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보통 10~100ms(밀리초, 1ms=1000분의 1초)가량 지속될 뿐이다. 그래서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