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언제라도 저수지 수위를 낮출 수 있는 시설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위성사진의 확인
결과
금강산댐 어디에도 여수로가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금강산댐 여수로는 댐 높이인 1백5m보다 5m 높은 1백10m 지점에서 시공중인 것이 확인됐다. 여수로는 저수지 수위가 높아졌을 때 물을 빼주는 역할을 하는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발견됐다. 19세기 내내 지구 과거시대의 화석이 많이 발견됐는데, 화석의 연대를 조사한
결과
6천년보다 훨씬 오래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지질학자들은 이런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균일설’이론을 도입한다. 균일설이란 지질의 변화를 지구 내부에 균일하게 작용하는 어떤 힘으로 설명하는 ... ...
의사결정을 뒤흔드는 뜻밖의 함정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인지적 오류가 야기하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점검해봤다. 여러분의 문제해결
결과
가 얼마나 합리적이고 타당했는가? 물론 현실 세계에 이렇게 단순하고 독립적인 문제들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이 얽힌 다분히 복합적이고 복잡한 문제들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이미 경험했다시피 ... ...
빨대와 튜브로 만든 63빌딩 높이 재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높은 건물인 63빌딩은 지상 높이가 2백49m(해발 2백64m)인데, 튜브로 만든 기압계를 이용한
결과
, 63빌딩에서 물이 지상일 때보다 2mm 정도 이동했다.▶▶▶ 누가 처음으로 기압계를 만들었을까1600년대 광부들은 광산에 지하수가 차서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 펌프로 물을 빨아올렸다. 그런데 아무리 힘 ... ...
바다로 내려간 고래의 성공비결은 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선조에서 최근 종류까지 여러 시기별 고래의 화석을 X선으로 단층 촬영해 비교했다. 그
결과
4천5백만년 전에 출현한 초창기 고래의 반고리관도 그 이전 종류에 비해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더욱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고래의 반고리관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 ...
작은 세포의 미니 생쥐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세포의 크기가 아니라 세포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어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
는 세포의 크기 역시 생물체나 장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즉 세포의 크기를 조절하는 유전자 변이가 신장이나 몸통의 굵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말이다 ... ...
목성의 새로운 가족 11개 위성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현재 목성 주변에 대한 우주공간 탐색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2년여 간의 탐색
결과
목성의 달은 거의 2배로 늘어났다. 연구팀은 최종적인 달의 개수가 80-1백10일 것으로 내다봤다.이에 대해 국제천문연맹의 브라이언 마스덴은 “실질적인 문제는 목성 위성의 이름 붙이기”라고 말했다. ... ...
홈어드밴티지의 플러스알파 붉은 악마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수치가 증가하고 이것이 홈어드밴티지로 나타난다는 설명이다.네빌 박사의 이번 연구
결과
에 따르면, 심판의 판정이 홈팀 응원단의 함성 소리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데, 관중의 적극적인 응원은 홈어드밴티지의 또다른 일면이란 얘기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우리나라가 홈팀이고, 10만여명의 회원을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오류를 범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인형사의 존재 자체가 예측 불가능한 다양성의
결과
라는 것이다.한편 워쇼스키 형제의 상상력이 부족했던 탓일까. 아니면 컴퓨터와 인간의 억지 대결 구도를 만들어내기 위함이었을까. 영화 매트릭스는 인간에게 전원을 얻어 쓰는 컴퓨터의 모습을 설정했다. ... ...
축구선수 시력 얼마나 뛰어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심지어는 공을 차기 직전에 이미 그 방향을 감지하는 능력이 발달한다고 한다. 이런 연구
결과
는 공 자체의 방향뿐 아니라 눈으로 얻어진 정보를 뇌에서 분석하는데 훨씬 더 효율적으로 훈련됐다는 점을 말한다. 반면 숙달되지 않은 축구선수는 공을 찬 후에야 그 방향을 감지한다.그뿐만 아니다. ... ...
이전
1203
1204
1205
1206
1207
1208
1209
1210
1211
다음
공지사항